지난해 거래재개 '동병상련'…올해 주총 경영진 재선임
김재경 신라젠 대표 "항암신약 가시화, R&D 인력 충원"
코오롱티슈진, 코오롱생명과학과 신약 개발 협업 강화
![]() |
▲김재경 신라젠 대표(왼쪽)와 김선진 신임 코오롱생명과학 대표. 사진=각사 |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지난해 10월 주식거래 재개 이후 첫 정기주주총회를 무사히 마친 신라젠과 코오롱티슈진이 나란히 경영진 신임을 바탕으로 올해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에 나선다. R&D를 발판으로 신약 개발과 주주 신뢰회복에 나선다는 경영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9일 신라젠에 따르면, 신라젠은 올해 하반기 중에 자체개발한 항암바이러스 치료제 ‘펙사벡’과 미국 리제네론의 면역항암제 ‘리브타요’의 병용임상 2상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임상은 신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펙사벡과 리브타요를 병용투여하는 글로벌 임상으로, 업계는 긍정적인 결과 도출을 점치고 있다.
올해 취임 2년차를 맞은 김재경 신라젠 대표는 지난달 31일 열린 정기주총에서 긍정적인 임상결과 도출을 바탕으로 리제네론에 펙사벡 관련 기술수출 가능성을 타진해 볼 계획임을 밝혔다.
또한, 자체개발한 항암바이러스 플랫폼 ‘SJ-600’ 시리즈와 스위스 바실리아로부터 도입한 항암제 후보물질 ‘BAL0891’의 임상 계획도 소개하면서, 기존 펙사벡 단일 파이프라인에서 벗어나 다변화된 파이프라인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R&D 인력을 꾸준히 충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대표는 "글로벌 경제 불안감과 함께 국내 증시의 공매도에 대한 제도적 미흡으로 바이오기업들이 공통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언급하며 "신라젠은 미래 가치가 충분하기 때문에 주주들이 믿고 지지해 준다면 그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지난해 주식거래 재개 이후 지지부진한 신라젠 주가를 우려하는 주주들의 불안을 해소하는데 회사가 무엇보다 주력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인 것이다.
코오롱티슈진은 주주의 신뢰회복을 위해 그룹 차원에서 더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지난해 10월 나란히 주식거래 재개에 성공했지만 주가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코오롱티슈진은 지난달 28일 열린 주총에서 한성수 코오롱티슈진 공동대표를 사내이사로 재선임했다. 이로써 코오롱티슈진은 한성수·노문종 공동대표 체제를 이어가게 됐다.
이어 코오롱생명과학도 지난달 30일 김선진 코오롱티슈진 최고의학책임자(CMO)를 새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김선진 CMO는 코오롱티슈진의 관절염 치료 바이오신약 ‘인보사케이주’(개발명 TG-C)의 미국 임상 3상 재개를 이끌어낸 인물로, 코오롱생명과학 대표와 코오롱티슈진 CMO를 겸임하게 돼 두 회사간의 보다 긴밀한 협력을 주도하게 됐다. 코오롱티슈진은 인보사 등 의약품 연구개발에, 코오롱생명과학은 국내외 판매 등에 주력하고 있다.
나아가 김선진 대표는 자신이 창업한 바이오벤처 ‘플랫바이오’와 코오롱제약이 합병해 조만간 출범할 예정인 합병법인의 신약개발부문 대표이사도 맡을 예정이다.
여기에 더해 코오롱그룹은 그룹의 3대 제약바이오 계열사인 코오롱티슈진·코오롱생명과학·코오롱제약에 향후 5년간 총 4500억원을 투자해 제약바이오 3사의 신약개발에 힘을 실을 방침이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