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매제한 완화로 둔촌주공 문의 ‘폭주’…분양전망지수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4.09 13:19

둔촌주공 전매제한 1년으로 축소…12월부터 분양권 거래



전매제한 완화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분양전망지수 4.3p↑



전문가 "실거주의무 폐지 안 되면 아무런 의미 없어"

PYH2023040706330001300_P4

▲아파트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축소되면서 서울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올림픽파크 포레온) 분양권에 대한 거래 문의가 빗발치고 있다. 사진은 둔촌주공 재건축 현장 전경.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최근 수도권 아파트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대폭 축소되면서 대표적인 규제완화 수혜단지로 꼽히는 서울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올림픽파크 포레온)에서 분양권 거래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7일부터 아파트 분양권 전매제한을 완화하는 ‘주택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수도권의 경우 전매제한 기간이 최대 10년에서 3년으로, 비수도권은 최대 4년에서 1년으로 단축된다. 이 같은 규제완화는 시행령 개정 전에 분양을 마친 아파트에도 소급적용돼 둔촌주공에 대한 기대감이 급격히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 둔촌주공 전매제한 대폭 축소…기대감↑


이번 규제완화에 따라 공공택지·규제지역(서울 강남·서초·송파·용산구)·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은 3년, 서울 전역이 포함되는 과밀억제권역은 1년, 광역시 도시지역은 6개월로 전매제한 기간이 완화되며 그 외 지역은 전면 폐지된다. 과밀억제권역에 속하는 둔촌주공은 전매제한이 기존 8년에서 1년으로 축소됐으며 이는 당첨자 발표 이후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오는 12월이 되면 분양권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강남3구 및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된 데 이어 전매제한 기간 및 중도금 대출 규제가 완화되고 대출 금리마저 인하되는 분위기다. 이로인해 일부 수요자들 사이에서는 분양시장이 되살아나고 분양권 거래 및 부동산 거래량 또한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제 전매제한 완화의 영향으로 이번달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지난해 5월 이후 처음으로 80선을 웃돌았다. 지난 6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번달 서울 분양전망지수는 지난달 82.2에서 86.5로 4.3포인트(p) 올라갔다.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을수록 분양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것을 뜻한다. 수치가 여전히 기준점인 100을 하회하고 있지만 6개월 연속 상승 흐름을 타고 있으며 특히 전국 지수가 전월에 비해 10p 이상 대폭 올랐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전매제한 기간 축소가 각종 수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이로 인한 시장 활성화가 예상되자 수혜단지로 꼽히는 둔촌주공 분양권 매수에 대한 문의는 빗발치고 있다.

둔촌동 내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전매제한 완화 이후로 둔촌주공 분양권에 대한 문의가 대폭 늘었다"면서도 "오는 12월부터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호가에 대해서는 아직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둔촌주공 분양권에는 프리미엄(P·웃돈)이 꽤나 붙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충분한 투자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전매제한 완화, 시장에 끼치는 영향 ‘미미’


반면 일각에서는 실거주 의무가 폐지되지 않는다면 전매제한 완화는 큰 의미가 없을 것이며 다수의 분양권이 한꺼번에 시장에 쏟아질 경우 가격 폭락의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둔촌주공에 대한 관망세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전매제한 규제 완화가 부동산 거래 활성화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지만 양극화 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는 우려 또한 더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매제한 완화가 부동산 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적을 것이며 실거주의무 폐지 없이는 의미 없다는 점을 시사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둔촌주공의 경우 향후 호가가 조금 오를 수도 있겠지만 전매제한 완화가 부동산 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이라며 "집값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있어야 거래가 지속되는데 기대감이 꺾였기 때문에 잠깐 반짝하기만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소장은 이어 "둔촌주공에 관심이 큰 수요자들 사이에서는 거래가 이뤄질 수 있겠지만 실거주의무가 폐지되지 않는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을 것"이라며 "향후 2~3년간 부동산 시장이 좋아질 기미가 아직 없기 때문에 둔촌주공에 투자를 원한다면 마이너스 프리미엄으로 나오는 매물을 기다리는 것을 추천한다"라고 덧붙였다.

daniel1115@ekn.kr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