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美 경기침체 전망에도 3월 베이비스텝 택했다…"물가 잡아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4.13 08:45
USA-FED/MINUTES

▲제롬 파월 연준의장(사진=로이터/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은행권 파산 여파로 미국 경제가 올 하반기 완만한 침체기에 접어들 수 있다는 예상이 나왔음에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준이 12일(현지시간) 공개한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은 "3월 회의 당시 참석자들은 올 하반기부터 경제가 완만한 침체기로 들어가고 침체로부터 회복하는데 2년이 걸릴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부 참석자들은 은행 위기가 어떻게 펼쳐지는지 완전히 파악될 때까지 금리를 잠시 중단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겠느냐는 주장도 제기했다.

그러나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인사들은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대로 물가를 끌어내리기 위해선 추가적인 통화정책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강조했다.

또 은행 위기에 대해 연준이 연방 정부와 긴급 대응에 나선만큼 상황이 개선됐고, 단기간에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줄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심지어 일부 위원들은 은행 위기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인상하는 쪽에 방향을 기울였다고 의사록은 전했다.

결국 금리 인상 중단을 주장한 참석자들도 인플레이션 대응이 최우선이라는 데 동의했고, 연준은 기준금리 25bp(0.25%P, 1bp=0.01%포인트) 인상을 결정했다.

의사록은 "은행권 파산 등에 따른 여파는 신용 경색으로 이어지고 경제활동, 고용, 인플레이션 등에 무게를 가할 것으로 언급됐다"면서도 "이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참석자들은 인플레이션 리스크에 계속해서 주시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지난달 22일 FOMC 정례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일부 위원들이 금리 동결 방안을 고려했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당시 파월 의장은 물가 수준을 고려한다면 금리 동결은 적절치 않았다고 설명했다.

의사록에 따르면 회의 참석자 18명 중 대다수가 올해 안에 한 차례 금리를 더 인상하는 것이 확실시되고, 이후 고용시장이 안정을 유지하는 한 금리 수준이 유지될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했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통신은 "연준이 다음달 모일 때 경기 침체의 경고를 떨쳐내고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준은 다음 달 3일 FOMC에서 금리의 향방을 결정한다.

한편,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을 이끄는 래리 핑크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글로벌 에너지 행사에 참석해 미국 인플레이션이 단기적으로 4%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을 것이란 견해를 내놨다. 그는 지난 몇 년 동안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보였던 원인에 생산성 둔화를 지목했고 재택 근무 등이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켰다고 설명했다.

앞서 핑크 CEO는 인플레이션이 향후 몇 년 동안 3.5∼4% 범위에 머무를 것이라고 지난달 전망한 바 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