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우창 금융증권부 기자
금융권에서는 매일 크고 작은 사건 사고가 끊이질 않지만, 최근 또 중대한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바로 ‘사이버 보안’ 문제다. 가상자산 거래소 지닥에서 외부의 해킹 공격으로 인해 180억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사실 ‘디지털 강국’이라는 우리나라에서는 예전부터 보안 문제가 예전부터 계속 대두돼왔다. 약 10년 전 본 기자의 대학교 재학 시절, 수사관 출신으로 디지털 범죄 및 보안 분야 과목을 담당하셨던 한 교수님께서는 당시 각 정부 기관 및 금융사들의 보안 상황에 대해 ‘아무런 준비가 없다’고 평한 바 있었다.
모 회사의 경우 보안 체계를 실험하기 위해 한 화이트해커에게 공격을 의뢰했으나, 쉽게 뚫려버린 보안망에 대한 피드백을 전달한 해커에게 오히려 "입조심하라"는 압박을 가하는 촌극이 벌어진 일도 있었다. 당시만 해도 정·재계의 주요 인사들은 사이버 보안을 귀찮고 비용만 나가는 ‘짐’으로 취급했을 뿐, 기업에 뭔가 이익이 된다는 인식을 전혀 가지고 있질 않았다.
그래도 이후 많은 세월이 흐르고, 국내에서 자성의 목소리도 높아진 덕분에 현재는 예전에 비해 상당한 수준의 보안을 갖춘 듯하다. 하지만 갈 길이 멀다. 지닥의 사례뿐 아니라 작년에도 십 수명에 불과한 인원이 증권사를 해킹, 수십만명의 개인정보를 빼간 사건이 벌어진 적이 있다. 다른 산업으로 범위를 넓히면 사이버 피해 관련 사례는 비일비재해 세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다.
다행히 최근 정부도 사이버 보안 위협 대응에 발 벗고 나서기 시작했다.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차세대 기술 발전이 확산하며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정부가 직접 인식하고, 그에 맞게 정부의 전산 시스템을 혁신화 하겠다는 것이다. 정부가 직접 각 회사에 어떤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정부 차원에서 시스템 선진화에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 일선 기업에도 일종의 ‘선한 영향력’을 기대할 수 있다.
이제 증권사들은 토큰증권(STO) 분야로 사업 범위를 넓히고 있다. 같은 블록체인망의 특성을 공유하는 지닥의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투자자들의 신뢰도를 이 이상 떨어뜨리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의무가 있다.
su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