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 1.08%↑
규제완화·특례보금자리론…상승세 영향
거래량 늘며 상승세 이어질 것으로 예상
![]() |
▲급매물 거래가 증가하면서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10개월 만에 반등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전망. 연합뉴스 |
18일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2월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전월 대비 1.08% 오르면서 0.46% 오른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으로 상승 전환했다.
이 같은 수치는 연초 정부의 대대적 규제완화 이후 2월 들어 급매물 거래가 증가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직전 거래보다 높은 가격에 팔리는 상승 거래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3만1337건으로 1만7841건을 기록한 전월에 비해 75.6% 증가했다.
이는 지난 5년 평균 거래량에 비하면 절반 정도에 불과하지만 지난해부터 이어진 거래 침체기를 고려했을 때 분위기가 반전됐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서울에서도 보여지고 있다.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286건으로 1161건이었던 전월에 비해 96.9% 증가했고 수도권 또한 1만2294건으로 6332건이었던 전월보다 94.2% 늘었다.
이러한 상승세에는 1월 출시된 특례보금자리론의 영향도 컸던 것으로 보여진다.
주택금융공사(HF)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건수는 총 11만3000건으로 기존대출 상환 목적이 5만6000건(49.1%)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신규 주택구입(4만9000건) 비중도 43%로 높았다.
한편 지난 2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전월 대비 1.85% 올라 1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했으며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위치한 동남권의 실거래가 지수 상승 폭이 2.28%로 서울 5대 권역 중 가장 컸다.
마포·서대문·은평구 등이 있는 서북권의 실거래가 지수는 2.12% 올라 두 번째로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영끌족들의 성지로 불리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이 자리한 동북권은 전월 대비 1.59% 올랐고 양천·영등포·강서·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은 1.42% 올라 0.94%를 기록했던 지난해 4월 이후 10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반면 용산·종로·중구가 있는 도심권은 서울에서 유일하게 1.77% 하락했다.
이후에도 거래량은 꾸준하게 증가해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 상승세는 3월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계약일 기준)는 이날 기준 2743건으로 2462건을 기록한 2월달 거래 건수를 웃돌았다.
3월 계약분의 거래 신고 기한은 이달 말까지다.
한국부동산원이 일부 거래 신고분으로 가집계한 3월 실거래가 잠정지수는 전월 대비 전국과 서울이 각각 1.06%, 1.53% 오르며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등 대내외적 불안 요인들이 여전히 존재해 실거래가 지수 상승을 본격적인 집값 상승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한다. daniel111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