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구정 2~5구역, 신속통합기획 주민설명회 개최
‘대치 미도’, ‘신반포2차’ 등 강남권 일대로 확대
![]() |
▲오세훈 서울시장의 부동산 주력 사업인 신속통합기획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사진은 강남구 압구정 현대 아파트 일대. 사진=김기령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오세훈표 재건축·재개발 사업인 ‘신속통합기획’(이하 신통기획)이 서울 정비사업 조합으로부터 열띤 호응을 얻으면서 사업 대상지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최근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2차’가 신통기획안을 확정지은 데 이어 강남구 압구정2~5구역도 다음 주 25일과 26일 양일간 순차적으로 신통기획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콧대 높은 강남권에서도 신통기획을 반기는 양상이다.
◇ 강남 압구정서 신통기획 주민설명회 열려
2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압구정3구역은 오는 25일 강남구 신사동 일대에서 조합원을 대상으로 신통기획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조합 측은 개최 안내문을 통해 "조합원 여러분께서 기다리던 서울시 신통기획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하오니 많은 참석을 바란다"고 전했다. 설명회에서는 토지이용 및 건축계획과 향후 업무추진 계획 등이 소개될 예정이다.
압구정3구역은 압구정 구현대 1·2·3·4·5·6·7·10·13·14단지 등 4000가구 넘는 대단지 조성이 예상되면서 압구정 내 6개 구역 내에서도 시장의 관심이 가장 높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일 압구정3구역에 속한 현대 1·2차 전용면적 131㎡는 지난 5일 40억5000만원에 매매됐으며 같은 구역 내 현대13차 전용 108㎡는 지난달 20일 37억원에 거래되며 단지 내 신고가를 경신했다.
◇ 신통기획, ‘인센티브 통한 층수 완화’ 강점
신통기획에 대한 관심이 높은 데는 빠른 사업 기간과 공공기여를 통한 층수 완화 등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개발 사업 속도가 지지부진했던 서울 주요 노후 단지들이 신통기획을 적극 고려하고 있는 배경이다.
신통기획은 서울시가 공공성과 사업성의 균형을 이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신속한 사업추진을 지원하는 공공지원계획으로 기존 도시정비사업에 비해 절차가 간소화됐다는 점이 특징이다.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위원회 심의, 사업시행계획 시 관련 심의를 통합해 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신통기획 대상지가 되면 서울 전 지역에 적용됐던 일률적 35층 규제를 지역 특성에 따라 더 높일 수 있도록 층수 규제가 완화된다. 일례로 지난해 신통기획 대상지로 확정된 여의도 시범아파트와 한양아파트는 각각 최고 65층, 54층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층수 규제 완화를 통해 초고층 단지로 재탄생하는 단지들이 증가하면서 한강변 인근 강남 주요 단지들도 한강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신통기획을 선택하는 분위기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달 28일 ‘신반포2차’ 아파트 재건축 신통기획안을 확정했다. 기획안에 따라 최고 50층, 2050가구 규모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신반포2차는 재건축 추진 과정에서 한강 조망권 확보, 평형배분 문제로 주민 갈등을 겪으며 사업이 지연돼왔던 단지였다. 이에 서울시가 6개월 만에 층수 완화 등을 내세운 기획안을 마련하면서 사업을 본 궤도에 올렸다.
강남구 대치동에서도 ‘대치미도’ 아파트가 강남권 최초로 신통기획안을 확정하고 최고 50층으로 재건축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 임대비율 과다 등 공공기여 한계로 주민 반발도
그러나 신통기획이 호응을 얻으면서 추진 단지를 늘려가고 있지만 공공기여가 불가피하다는 특성상 주민 반발도 만만찮은 상황이다. 송파구 한양2차는 지난해 서울시에 신통기획 철회를 요청하는 등 서울시와 갈등을 빚고 있다. 신반포2차는 지난 15일 신통기획 긴급 설명회를 열고 신통기획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는 자리를 가졌다. 강남 내 타 조합의 2배 이상 높은 임대비율과 30평 이하 소형 비중 과다, 강남 최고 건폐율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gir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