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한수원·동서발전·한국전력기술 등과 에너지공단 공모사업 신청
영남권 첫 추진 '공공주도 해상풍력 지원사업'…투자 사업비 5조원 예상
![]() |
▲전남 신안의 해상풍력 실증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경북도가 포항 앞바다에 설비용량 1기가와트(GW) 규모의 공공주도 해상풍력 단지개발을 추진한다.
이는 원자력 발전소 1기와 비슷한 설비용량으로 약 5조원 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주도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은 한국에너지공단이 지방자치단체의 해상풍력 단지개발 조사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영남권에서 이번에 처음 추진된다.
![]() |
경북도 관계자는 25일 "에너지공단의 공공주도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에 포항 해상풍력 사업을 신청했다. 아직 선정 결과를 받지 못했다"며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동서발전, 한국전력기술, 경북개발공사 등이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에너지공단은 경북도가 제출한 공공주도 해상풍력 지원사업 신청서에 큰 문제는 없다고 보고 있다.
에너지공단 관계자는 "포항 해상풍력 사업이 지원사업으로 거의 선정될 것 같다"며 "사업 계획서를 조금 수정하는 단계로 협약을 맺는 데 무리는 없어보인다"고 밝혔다.
아직 포항 해상풍력 사업의 구체적인 사업비는 확정되지 않았다.
설비용량 0.6GW 규모로 인천 영종도에 추진 중인 해상풍력 사업에 총 3조원이 투입된다. 단순 계산으로 1GW 해상풍력 사업에는 약 5조원의 사업비가 투자될 것으로 추정된다.
설비용량 1GW는 국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설비용량 8메가와트(MW) 해상풍력발전기 총 125개를 설치할 수 있는 규모다.
국내 해상풍력 이용률을 약 20~30%로 가정하면 해마다 최대 2628기가와트시(G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국가지표체계의 지난 2021년 기준 한 해 1인당 전력소비량 1만330킬로와트시(kWh)를 적용하면 25만4404명이 사용할 수 있는 전력생산량으로 포항시 인구 절반이 넘게 쓸 수 있다.
그동안 공공주도 해상풍력 지원사업에 선정된 지자체는 전북도와 전북 군산, 전남 신안, 충남 보령·태안으로 총 6개다.
이번에 포항 해상풍력 사업이 공공주도 해상풍력 지원사업에 선정되면 경북도가 일곱 번째로 지원사업에 선정된 지자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해상풍력 사업을 사업자가 처음부터 사업을 주도하는 게 아니라 공공주도로 입지를 개발한 후에 사업을 추진할 사업자를 모집하는 방식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공공주도 해상풍력 지원사업은 에너지공단이 지자체에 해상풍력 발전단지 개발예정 입지의 사전타당성을 조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공모에 선정된 지자체는 3년간 최대 63억원을 지원받는다.
에너지공단은 지난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공공주도 해상풍력 지원사업에 신청할 지자체를 모집했다.
경북도는 육상과 해상을 넘나들며 풍력사업단지 개발에 나서고 있고 산업단지 태양광 발전설비 확대 등 재생에너지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 16일 울진 산불지역에 설비용량 0.4GW 규모의 육상풍력 사업단지를 총 1조원을 투자해 조성할 계획을 밝혔다.
지난 2월에는 한수원과 경북지역 산단 지붕 등에 설비용량 2.5GW 규모의 태양광을 총 4조2000억원을 투자해 설치하기로 했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