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신용 비율 80% 넘으면 장단기 성장률 하락 요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4.28 14:10
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높아질 수록 중장기적으로 경제성장률이 둔화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8일 ‘가계신용 누증 리스크 분석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1960∼2020년 39개 국가 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가계부채 증가가 GDP 성장률과 경기침체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를 불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3년 누적)이 1%포인트(p) 오르면 4∼5년 시차를 두고 실질GDP 성장률(3년 누적)은 0.25∼0.28%포인트 하락했다.

가계신용이 늘어나면 3∼5년 시차를 두고 경기 침체(연간 GDP 성장률 마이너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커진다는 사실도 도출됐다.

가계신용 비율이 80%를 넘는다면 중장기뿐 아니라 단기 시계에서도 성장률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침체 가능성도 높아졌다.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105.1%에 이른다.

권도근 한은 통화신용연구팀 차장은 "이번 분석 결과로 미뤄 우리나라와 같이 가계신용 비율이 이미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계부채의 부정적 파급 효과가 더욱 클 가능성이 있다"며 "가계신용 비율이 80%에 근접하도록 가계부채를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다만 가계부채의 급격한 디레버리징(차입 축소)은 금융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완만한 속도로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