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尹대통령 국빈 방미서도 '찬밥신세' 태양광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5.08 11:21

이원희 정치경제부 기후에너지팀 기자

이원희(증명사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정부에서 태양광 발전에 ‘태’자도 꺼내기 불편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 여파는 외교에까지 미쳤다. 국제협력에서도 태양광은 찬밥신세로 전락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윤 대통령 방미를 계기로 국내기업과 미국기업이 에너지 분야에서 총 23건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중 소형모듈원전(SMR)과 수소를 중심으로 MOU를 체결했고 태양광은 단 한 건도 등장하지 않았다.

SMR과 수소는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꼽히지만 아직 제대로 상용화되지 않은 에너지원이다. 이들로 MOU를 체결해도 당장 의미 있는 성과가 눈에 띄지 않는다.

반면 태양광은 미국에서 실제로 대규모로 진행되는 사업으로 국내 기업의 효자 수출상품으로 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태양광 제조기업인 한화솔루션은 태양광 수출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재생에너지 부문 매출에서 지난해 동기 대비 48.4% 증가한 1조3661억원을 기록했다.

카멀라 해리스 미 부통령은 지난달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의 태양광 모듈 공장을 방문해 태양광 패널 250만개를 주문했다고 발표했다.

전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더 높은 효율을 보이는 태양광 패널을 개발하는 경쟁도 치열하다.

윤 정부가 에너지산업 수출에 관심이 있다면 태양광은 사실 국제협력에서 빠질 이유가 없다.

태양광이 국제협력에서 빠진 건 정치적인 이유로 보인다.

태양광은 지난 문재인 정부의 육성 정책으로 성장했으나 각종 비리로 문제를 일으키며 윤 정부의 심기를 건들였다.

국무조정실은 지난해 9월 예산 부실 집행 등 태양광 사업에 대한 일부 비리를 포착했다. 올해 봄에 태양광은 호남에서 대규모 정전을 일으킬 위험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내 태양광 시공업자와 발전사업자가 일으키는 일부 문제점과 미국에 태양광 부품을 수출하는 제조업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태양광 발전사업과 시공업, 제조업 간의 차이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무지로 이번 미국과 MOU에서 태양광을 제외시킨 것일지도 모른다.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이 에너지 수출 전략에서 태양광을 정치적인 이유로 버리는 건 아까운 일이다.


wonhee4544@ekn.kr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