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한강뷰 아파트서 억대 하락 거래 속출…떨어지는 칼날될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5.10 15:36

마포구 대장주 ‘마래푸’ 최고가 대비 5억↓



역전세난 시간 지날수록 심해질 것 우려



전문가 "역전세 이어지면 가격 조정 있을 것"

마포

▲서울 마포구에서 억대 하락 거래 및 역전세가 확산하면서 향후 가격 조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마포구 한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강남 4구 못지않은 부동산 가치를 인정받는 이른바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중 하나인 서울 마포구에서 억대 하락 거래가 속출하고 ‘역전세난’(전세 시세가 계약 당시보다 하락하는 상황) 사태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마포구 곳곳에서 억대 가격 하락 목격돼


10일 아파트 실거래가 빅데이터 아실에 따르면 마포구 하중동 ‘한강밤섬자이’ 전용면적 118㎡는 지난 4일 17억4500만원에 거래되면서 2021년 7월 최고가(23억5000만원) 대비 6억원 가량 폭락했다. 이는 해당 아파트 가격이 약 4년 전 수준으로 회귀한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한강밤섬자이는 한강변에 위치해 있으며 여의도, 합정, 공덕동 등이 인접해 입지적 조건이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마포구 대장주라고 불리는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에서도 억대 하락 거래는 이어졌다.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전용면적 84㎡는 지난 1일 13억9800만원에 계약서를 작성하면서 2021년 9월 기록된 최고가(19억4500만원)에 비해 5억원 이상 가격이 떨어졌다.

펜타 역세권(5·6·경의중앙·공항철도·신안산선)을 자랑하는 공덕역 인근 공덕동 ‘공덕SK리더스뷰’ 전용면적 84㎡ 또한 지난달 15일 16억6000만원에 계약을 체결하면서 지난해 6월 기록한 최고가(19억원) 대비 2억원 이상 하락했다.

위치적, 교통적 입지가 서울 내 자치구 중에서도 뛰어나다고 평가받고 있는 마포구에서 억대 하락 거래가 이어지자 수요자들은 충격을 금치 못하고 있다.


◇ 경매에 역전세난까지


여기에 더해 마포구 내에서는 아파트 경매 매물까지 속출하고 있어 추가 하락에 대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마포구 현석동 ‘밤섬현대아파트’ 전용면적 84㎡는 감정가 21억1000만원에서 두 차례 유찰을 거친 뒤 16억8800만원에 오는 23일 입찰을 앞두고 있다.

마포구 도화동 ‘도화현대1차아파트’ 전용면적 128㎡는 감정가 16억100만원에 오는 30일 첫 입찰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도화동 ‘현대홈타운’ 전용면적 84㎡ 또한 감정가 11억9000만원에서 한차례 유찰된 후 9억5200만원에 다음 달 13일 입찰 기일이 잡혀있다.

현재 마포구 아파트 가격이 4년 전 수준으로 돌아가고 경매 매물까지 쏟아지게 되면서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를 한 집주인 입장에서는 전세가격 추가 하락에 대한 하방 리스크를 의식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실제 마포구 내에서의 역전세난은 상당히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보여진다.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전용면적 84㎡는 2021년 6월 9억8000만원에 전세계약을 체결했지만 지난달 26일 7억8000만원에 계약을 갱신했다. 약 2년여 만에 전세가격이 2억원이나 급락하면서 기존 세입자에게 억대의 돈을 돌려주게 된 상황인 것이다.

같은 단지 전용면적 59㎡의 상황은 조금 더 심각하다. 해당 주택은 2021년 9월 8억8000만원에 전세 계약서를 작성했지만 지난달 15일 6억에 신규 계약을 체결하면서 약 1년 6개월만에 3억원에 가까운 폭락을 경험했다.

현재 서울의 역전세난은 곳곳에서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지난 2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2021년과 올해 발생한 전국 아파트 전세 거래 3만2022건(동일단지·동일면적 거래발생)을 분석한 결과 2년 전보다 가격이 하락한 거래는 전체의 62%(1만9928건)였으며 서울의 하락 거래 비중은 64.2%를 기록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9월 역전세난이 극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하며 가격 압박을 이기지 못한 집주인들을 중심으로 급매물이 쏟아질 것이라는 예측마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마포구에서 역전세가 더 증가하며 주택 가격이 추가로 조정받을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역전세라는 것은 부동산 투자와도 연결돼있다"며 "역전세가 늘어난다는 것은 주택 가격이 조정을 받는 상황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송 대표는 이어 "입지가 아무리 좋다고 해도 강남권도 역전세로 인해 가격 조정을 받은 만큼 마포구 또한 역전세난에서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이다"고 예상했다.

daniel1115@ekn.kr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