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주 산업부 기자
![]() |
▲이승주 산업부 기자 |
현재 우리는 2020년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이 기술 없이는 탄소중립이 불가능하다고 밝힌 ‘CCUS’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CCUS는 산업 공정 상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 후 이를 활용·저장하는 기술이다.
CCUS는 산업 공정에 적용될 시 진면목을 발휘한다.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집된 탄소를 원료로 재활용해 ‘탄소 순환’ 밸류체인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국제해사기구(IMO)의 EEXI/CII 등 강화되는 국제사회 환경규제의 훌륭한 대안으로도 꼽힌다.
또한 전 세계 주요국들은 CCUS 기술을 ‘미래 먹거리’로 보고 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CCUS 기술 개발 지원 확대와 투자 대상 물색에 나서고 있으며, 말레이시아는 탄소 지중 저장소를 찾기 위해 글로벌 회사와 공동 조사를 준비 중이다.
다만 우리 정부는 CCUS가 산업계의 핵심 탄소감축 기술이 아니라고 판단한 모양이다. 정부는 올해 3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계획(NDC)을 발표하면서 ‘산업 부문(11.4%)’과 ‘CCUS 부문(11.2%)’을 따로 분리해뒀다. 이는 산업계가 CCUS 기술을 적용해 탄소를 감축하더라도 인정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조치가 CCUS에 대한 산업계 인식을 바꿀 수 있다고 경고한다. "CCUS가 산업 부문에 포함되지 않았으니 신경쓰지 않아도 되겠구나"라는 식이다. 혹은 "CCUS 단독으로 탄소 감축을 어떻게 하지?"라는 의문도 생길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지금이라도 정부는 CCUS에 대한 올바른 방향성을 잡아줘야 한다. CCUS가 단순히 탄소 저감 뿐 아니라 산업계 경쟁력이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미뤄볼 때, 산업계의 투자나 연구개발을 장려할 수 있는 전향적인 방법론을 고민해야 할 시기다.
lsj@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