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알짜 단지서 세자릿수 경쟁률 속출
경기·청주, 호재·일자리 등으로 청약 몰려
전문가 "청약 쏠림 현상 당분간 지속될 것"
![]() |
▲최근 청약시장이 개발호재나 일자리 등 입지적 가치가 있는 곳으로만 청약이 쏠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부동산 시장 침체 속 분양시장 양극화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 호재 등 입지적 가치에 따라 청약 수요가 한쪽으로만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이 당분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서울 은평서 124대 1
16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서울 국민평형 7억원대 알짜단지로 주목 받았던 은평구 ‘새절역 두산위브 트레지움’ 특별공급에서 세 자릿수 경쟁률이 나왔다.
구체적으로 특별공급 114가구 모집에 3133명이 몰려 평균 27.5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최고 경쟁률은 124.3대 1이다. 전용면적 59타입에서는 19가구 모집에 2359명이 몰렸다.
부동산업계에선 서울에서 보기 드물게 전용 84타입에서 7~8억원대 아파트라는 점에서 수요자의 관심이 높았다고 평가했다. 특별공급 경쟁이 치열했던 만큼 1순위 청약도 높은 경쟁률이 기대되고 있다.
앞서 서울지역은 지난 3월 GS건설이 시공한 영등포구 ‘영등포자이 디그니티’에서 순위 내 기준 평균 198대 1을, 동대문구 ‘휘경자이 디센시아’가 51.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기대가 낮았던 동부건설이 시공한 은평구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시그니처’에서 11.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자 서울 분양시장은 완전히 활기를 찾았다는 진단이 나오기도 했다.
최근에는 경기도에서도 이례적인 청약 흥행 단지들이 나오고 있다. 서울보다 높은 분양가로는 분양 성적을 가늠할 수 없었던 용인과 광명에서 나름의 선전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용인에서는 이달 초 787가구 청약을 진행한 DL이앤씨 시공 ‘e편한세상 용인역 플랫폼시티’가 12억원의 고분양가에도 불구하고 4.39대 1로 순위내 마감한 바 있다.
이를 넘어 GS건설과 포스코이앤씨, 한화 건설부문 컨소시엄이 시공하는 ‘광명자이더샵포레나’는 422가구 모집에 4826명(11.4대 1)이 청약해 서울 근접이라는 입지적 가치를 증명했다.
◇ 관건은 분양가…고분양가 단지 0점대 경쟁률
지방에서는 충북 청주에서 기록적인 청약 흥행이 이어지고 있다. 청주 흥덕구에서 분양하는 ‘해링턴 플레이스 테크노 폴리스’는 184가구를 모집하는데 1만597명이 몰려 57.5대 1을 기록했다.
같은 구 대우건설이 시공하는 ‘신영지웰 푸르지오 테크노폴리스 센트럴’은 473가구 모집에 3만4886명이 청약해 73.7대 1의 경쟁률이 나왔다. 청주가 흥행한 이유에는 합리적인 분양가격이 꼽힌다. 84타입 기준 약 3억9000만원에서 4억2000만원대에 이르기 때문이다. 특히 청주 산업단지에는 SK하이닉스 청주사업장과 LG생활건강 청주공장, LS일렉트릭 청주사업장 등 대기업 일자리가 든든하게 뒷받침하는 입지적 가치도 한 몫했다.
반면 흥행에 실패한 단지들은 대거 미달을 기록했다. 경기 안성에 들어서는 ‘해링턴 플레이스 진사 1·2블록’은 346가구, 625가구를 모집했는데 각각 145명(0.41대 1)과 149명(0.23대 1)이 접수했다.
중도금 무이자까지 걸었던 경기 화성 ‘봉담 중흥S-클래스 센트럴에듀’는 761가구 모집에 417명만이 지원해 경쟁률 0.54대 1이 나오기도 했다. 이들은 대부분 주변 시세 대비 높은 분양가때문에 외면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올해 청약접수를 한 전국 분양사업지 중 1~5등을 차지한 청약 1순위 경쟁률이 높은 아파트는 대부분 서울과 청주 흥덕구였다"며 "분양가가 주요한 포인트이긴 하나 지역 내 공급 희소성, 평판 높은 브랜드 파워, 대단지, 역세권 등 가격이 오를 곳만 정밀 타격하는 청약 쏠림 현상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