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보스턴칼리지 졸업식.로이터/연합뉴스 |
연합뉴스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9일(현지시간) 미 노동부 통계를 인용해 미국에서 최근 고교를 졸업한 16∼24세 연령층 대학 진학률이 지난해 62%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19년 66.2%에서 뚝 떨어진 수치다.
대학 진학률 감소는 대학 학위가 필요 없는 청년층 일자리 급증이 주된 이유로 꼽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레스토랑과 테마파크 등 레저·접객업 일자리 증가는 전체 일자리 증가 2배 이상 웃돌았다. 제조업과 물류업도 일손이 부족한 상태다.
16∼19세 노동자 실업률 역시 지난달 9.2%로 70년 만 최저치를 찍었다.
블루칼라 일자리 급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 역시 미 고교 졸업생들이 대학을 포기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레저·접객업에 종사하는 일반 노동자들 시간당 임금은 2019년 4월부터 올해 4월 사이 30% 가까이 치솟았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노동자 임금 상승률 20%를 상회한다.
지난해 기준 레스토랑 종업원 시간당 임금 중간값은 14달러(1만 8550원 수준)로 미 연방정부 최저임금 거의 2배에 육박했다. 한국 표준인 일 8시간 주 5일 근무로 환산하면 월급이 300만원을 넘어선다.
대학 학위가 필요 없는 대신 도제식 견습 교육을 받아야 하는 일자리 임금은 더욱 높다. 기계공은 시간당 23.32달러를, 목수는 시간당 24.71달러를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WSJ은 미국 노동자 고령화와 팬데믹에 따른 이민자 유입 둔화를 고려하면 블루칼라 노동자 수요가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구인·구직 플랫폼 ‘집리크루터’ 수석이코노미스트인 줄리아 폴락은 WSJ에 "당신이 대학 학사 학위 없이 일자리를 얻을 수 있고 임금 상승률도 괜찮다면 뭐 하러 대학에 가서 학위를 얻겠는가"라고 반문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