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4년 전보다 41.7% 늘어난 496개…전기요금 미수금으로 회생채권 419개 급증한 탓
에너지 공공기관들 다수, 공공기관 전채 2천개 상회
한전 "발전 자회사·그룹사들 출자회사도 포함"...재무개선 위해 출자 조정 추진
![]() |
▲한국전력. |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지난해 전기요금 미수금으로 인해 출자회사가 공공기관 가운데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공공기관 경영 정보 공개 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타법인 투자 및 출자 현황이 있는 공공기관(부설기관 포함) 144곳의 지난해 말 출자회사 수는 전년 말 대비 5.5% 증가한 2112개에 달했다. 이는 2018년 이후 최근 5년 중 최대치다. 이 가운데 지난해 말 현재 출자회사가 가장 많은 공공기관은 한국전력공사로 496개였다. 이는 전체 공공기관 출자회사의 23.5%에 달하는 수치다.
한전 측은 출자회사가 많은 것에 대해 " 한전 출자회사 496개 중 전기요금 미수금 회생채권이 419개 포함되어 있다"며 "순수하게 한전 출자회사는 해외포함 44개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기요금을 못 받으면 상대방 회사가 주식으로 대납하는 때가 있는데 이는 지분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도 출자회사로 간주할 수 있어 출자회사 수에는 일부 허수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출자금액도 회계상 장부가액으로 실제로 한전이 출자한 금액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출자회사에 이익잉여금이 발생하면 자본금이 올라가고 최초 출자금액에 더해지는 구조여서 생기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실제 한전의 지난해 말 출자회사 수는 4년 전인 2018년 말(245개)의 두배 수준이다. 한전의 지난해 사업보고서에는 출자회사가 496개, 출자금액은 31조원으로 기재돼 있다. 출자 목적별로 보면 경영 참여가 42개, 일반 투자가 34개, 단순 투자가 420개였다. 한전의 출자회사에는 발전자회사들, 그룹사들의 출자회사도 포함돼 있다.
한전은 출자 회사 조정과 함께 전국 18개 지역본부 산하 234개 지역사무소를 주요 거점 도시 중심으로 조정하고, 지역 단위 통합 업무센터를 운영하는 등 조직을 축소 운용해 비용을 최대한 절감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또 안정적 전력 공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송전망, 변전소 등 전력 설비 건설 시기와 규모를 미루는 것은 물론 한국에너지공과대학 출연금도 재검토 할 방침이다.
전력 업계에서는 재정난에 몰린 한전이 설비 투자비를 줄이거나 지급을 지연하면서 협력업체까지 자금난, 일감 감소 등 사업상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무분별한 출자회사 조정이나 자산매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한편 전체 공공기관의 출자회사 수는 2018년 말 1491개에서 2019년 말 1656개, 2020년 말 1826개, 2021년 말 20001개로 증가한 데 이어 지난해 더 늘었다.
지난해 말 출자회사 수는 4년 전인 2018년 말과 비교해 41.6%(621개) 증가한 것이다.
한국자산관리공사(89개), 한국산업은행(85개), 주택도시보증공사(83개), 한국해양진흥공사(81개), 중소기업은행(53개), 한국토지주택공사(50개), 한국사학진흥재단(42개), 한국남동발전·한국서부발전(각 41개)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한국중부발전(40개), 한국동서발전(37개), 한국수력원자력(37개), 한국가스공사(35개), 한국남부발전(33개) 등 다른 에너지 부문 공공기관들도 출자회사가 많은 편이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