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방 앱 이용자 10명 중 7명 "내 집 살 것"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6.12 11:22

지난해 11월 비해 8.5%p↑…2년 반만 최고치
매입이유 ‘전월세→자가 마련’ 47.4% 가장 많아

직방 설문조사 ㅇㅁㅇㅁㅇ

▲직방이 자사 앱 이용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69%가 ‘내 집 마련’을 선택했다. 표는 2023년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 주택 매입 계획 이유. 직방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기준금리 동결이 이어지고 부동산 규제완화 대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는 상황에서 부동산 빅데이터앱 이용자 10명 중 7명이 향후 1년 안에 집을 살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직방에 따르면 자사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 1056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7일부터 31일까지 모바일 설문을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68.7%는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2020년 11월(69.1%) 이후 2년 반 만에 최고치이자,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 우려가 있던 작년 11월(60.2%)에 비해 8.5%포인트(p)나 상승한 것이다.

직방은 "현재 여전히 금리가 높지만, 기준금리가 동결되고 급매 거래가 이뤄지면서 매수를 고려하는 수요가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택 매입 이유로는 ‘전월세에서 자가로 내 집 마련’이 47.4%로 가장 많았다. 이어 ‘거주 지역 이동’(18.2%), ‘면적 확대·축소 이동’(12.6%), ‘시세 차익 등 투자 목적’(9.7%), ‘거주 구성원 변경으로 합가·분가 등’(6.6%), ‘임대 수입 목적’(2.2%) 등 순이었다.

작년 11월 조사 결과보다 ‘전월세에서 자가로 내 집 마련’과 ‘시세 차익 등 투자 목적’ 응답 비율은 각각 2.5%p, 3.5%p 상승해 실거주 매수와 투자 매수 의향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매입 계획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그 이유로 ‘주택 가격이 너무 비싸서’(31.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작년 하반기부터 주택 가격이 하향 조정되면서 저가 매물이 거래됐지만, 아직도 주택 가격이 비싸다는 인식이 있는 수요자는 매입을 꺼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가격이 하락할 것 같아서’(21.1%), ‘거주·보유 주택이 있고 추가 매입 의사가 없어서’(18.4%), ‘전반적인 경기 불황’(12.7%), ‘대출 금리 인상 부담이 커서’(11.8%)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1년 내 주택을 팔 계획이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41.6%였다. 매도 이유로는 ‘거주 지역 이동’이 26.2%로 가장 많았다.

반면 주택 매도 계획이 없는 이유는 ‘실거주(1가구 1주택)나 주택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가 50.1%로 가장 많았고, ‘적절한 매도 타이밍을 지켜보려고’(21.6%)가 그 뒤를 이었다.

직방은 "주택 매입 의사가 늘어나고 특히 실거주와 투자 목적 수요가 모두 증가한 만큼 지난 2∼3년 수준의 급격한 가격 상승과 거래량 급증까지는 아니지만 저가 매물이나 가격 회복이 기대되는 곳 위주로 꾸준하게 거래가 이뤄질 전망이다"고 설명했다. kjh123@ekn.kr

김준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