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사진=연합) |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한국과 일본 양국이 한일 관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한일 관계가 개선되자 서로의 대한 신뢰도가 상승했다는 평가다.
한국일보와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지난달 26∼28일 18세 이상 한국인 1000명과 일본인 10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동 여론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한일 관계에 대해 ‘좋다’고 평가한 한국인과 일본인은 각각 43%, 45%로 집계됐다.
지난해 이 질문에 대해 한국과 일본 국민 모두 ‘좋다’가 17%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한국은 26%포인트, 일본은 28%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한국 조사에서는 1995년 조사 때와 같은 최고 수준이었으며, 일본에서도 40%를 넘은 것은 2011년 이후 12년 만이다.
상대국에 대한 신뢰도는 두 국가에서 상승했다. 일본에서 ‘상대국을 신뢰할 수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40%로 지난해 대비 10%포인트 상승했다. 한국의 경우 상대국 신뢰도가 2.6%포인트 오른 27.6%로 집계됐다. 일본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지만 1996년 이래 최고 기록이다.
상대국에 대한 친밀도 조사의 경우, 한국인의 28.4%가 "일본에 친밀감을 느낀다"고 답한 반면 일본인은 47%가 "한국에 친밀감을 느낀다"고 했다.
3월 한일 정상회담 이후 정부 간 관계 개선 움직임이 양국 국민 인식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요미우리는 분석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잇달아 정상회담을 열고 한일관계 개선을 추진하는 데 대해서는 한국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47%)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49%)는 의견이 비슷하게 갈렸다. 같은 질문에 대해 일본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가 84%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13%)를 크게 웃돌았다.
‘역사 인식에 차이가 있지만 경제협력을 추진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는 한국에서 64%, 일본에서 70%가 각각 ‘그렇다’고 대답했다.
다만 일부 부분에서는 양국민의 찬반이 엇갈렸다.
한국 정부가 3월 발표한 징용 배상 해법에 대해서는 일본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가 57%로 호의적인 반응이 많았지만, 한국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가 59%로 부정적 반응이 다수를 차지했다.
일본 정부가 올해 여름으로 예고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 한국 국민은 84%가 반대했으며 찬성은 12%에 그쳤다. 반면 일본 국민은 찬성이 60%로 반대(30%)의 배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