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규 칼리버스 대표 인터뷰
"쇼핑·엔터등 그룹사 시너지↑"
"연내 '프라이빗 서비스' 출시"
![]() |
▲김동규 칼리버스 대표. |
김동규 칼리버스 대표가 롯데표 메타버스 플랫폼 ‘칼리버스’의 기술 수준과 가능성에 강한 자신감을 내비치며 한 말이다.
◇ "쇼핑은 리얼하게, 엔터는 의미 있게"
에너지경제신문은 지난 1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23 메타버스엑스포’ 칼리버스 부스에서 김 대표를 만나 칼리버스의 강점과 서비스 전략을 들어봤다. 롯데정보통신 자회사인 칼리버스는 동명의 초실감형 메타버스 플랫폼 ‘칼리버스’를 개발 중이다.
김 대표가 꼽은 칼리버스의 차별화 포인트는 △실사 수준의 그래픽과 오프라인 한계를 넘어서는 판타지 비주얼 △이용자 창작 콘텐츠(UGC) 제작 공정 간소화 △모바일·PC·3D TV 멀티플랫폼 지원 등이다.
특히 고품질 디지털 트윈으로 상품 디자인을 해치지 않아 정확한 쇼핑 정보를 제공하고, 현실적인 아티스트 비주얼을 선보여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김 대표는 "고도화된 초실감형 그래픽과 실사의 융합으로 쇼핑은 리얼하게, 엔터테인먼트는 의미 있게 만들겠다"고 말했다.
◇ "롯데 시너지, 글로벌 고객사 견인차"
![]() |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롯데 면세점에서 구입한 아이템으로 꾸민 아바타가 멀리 롯데월드타워를 바라보는 모습·칼리버스 내 이동수단 ‘택시’ 이용 화면·롯데 하이마트 건물·롯데 면세점 내부 전경. 사진=윤소진 기자 |
칼리버스에는 이미 롯데 타워를 비롯한 그룹사, 입점을 확정한 엔터사 건물들도 들어섰다. 모든 건물은 사고, 팔고, 빌릴 수 있으며, 내부 경제에 사용될 전용 재화는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김 대표에 따르면 칼리버스는 연내 허브월드를 공개하고 공간 구매 등 플랫폼 입점을 원하는 기업들을 위한 ‘프라이빗 서비스’를 시작한다. 누구나 무료로 플레이 할 수 있는 ‘퍼블릭 서비스’는 내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이다. 그는 "칼리버스를 밀라노 패션쇼에 초청할 정도로 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의 관심이 뜨겁다"며 "롯데라는 강력한 부스트로 개발한 혁신적인 기술이 통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퍼블릭 서비스 이후 빠른 시일내에 성과를 가시화할 것으로 봤다. 그는 "단기적인 영업이익보다는 미래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소유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삼았다"며 "그럼에도 건물 판매, 티켓 세일즈, 광고 게시 등 수익 창출 요소는 충분하다"고 자신했다. 8만여명 규모의 가상 콘서트 등 엔터 콘텐츠를 늘리고, UGC를 강화한 것도 주력 소비층으로 떠오른 MZ세대(1980년대~2000년대생)를 공략하기 위함이다.
김 대표는 "메타버스는 인류가 발전시키고 만들어 온 기술의 총집합체"라며 "메타버스의 미래가 ‘칼리버스’로 요약될 수 있도록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sojin@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