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지 ‘LPG·수소 융복합충전소’ 확대…수소차 충전 편리해질 듯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6.20 15:29

산업부, LPG용기충전소에 수소충전설비 설치 가능한 특례기준 개정안 고시



전국 260여개 수소 융복합충전소 전환 가능해져…‘경제성 확보’가 관건

충전장전경1-1

▲LPG용기충전소 전경.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앞으로 도심지 액화석유가스(LPG) 용기 충전소에서도 수소차 충전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정부가 기존 자동차용 LPG충전소에 이어 용기충전소도 수소충전설비 설치가 가능하도록 각종 규제 완화에 나서서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융복합충전소 대상을 LPG 자동차충전소 외 LPG 용기충전소까지 허용하고, 압축수소와 LPG 충전설비 간 일정 거리 유지 의무를 폐지하는 내용의 ‘융복합, 패키지형 및 이동식 자동차충전소 시설기준 등에 관한 특례기준’ 개정안이 행정예고 됐다.

수소충전소 설치 부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해 충전소 보급을 확대하려는 취지에서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기존 융복합충전소 형태에 수소자동차 충전소와 LPG 충전사업의 융복합충전소를 추가했다. 또 수소자동차 충전소와 LPG 자동차에 고정된 용기 충전사업의 충전설비 간 거리를 완화했다. 융복합충전소로 구축된 수소자동차 충전소의 최고운전압력 제한은 폐지했다.

LPG 자동차충전소의 경우 이미 특례기준이 적용돼 융복합충전소로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특례기준 개정안이 시행되면 기존 도심에 위치한 LPG 용기충전소도 수소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융복합충전소로 전환 가능해 진다.

한국LPG산업협회에 따르면 6월 현재 전국 LPG충전소는 자동차충전소 1923개소, 용기충전소 260개소다.

전국 260개 용기충전소 대한 수소 융복합충전소로의 전환이 가능해진다는 의미다.

다만 특례기준에도 불구하고 기존 LPG 용기충전사업자들이 수소충전이 가능한 융복합충전소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수소충전소 운영 시 수익을 거두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수소충전소의 경우 연간 1억원 이상의 운영적자를 기록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존 LPG충전소 부지에 수소충전설비를 설치하는 대신 세차기나 편의점 등을 설치해 운영할 경우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선택지도 있다"고 말했다.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특례규제 완화에도 수소충전소 보급은 어려울 것이란 설명이다.

이미 특례기준이 적용돼 각종 규제에서 자유로워진 LPG 자동차 충전소도 전국 약 30~40여개 정도만 융복합충전소 전환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규제완화에 따른 안전문제도 풀어야 할 과제다.

그간 화제사고 등 위험 때문에 LPG충전설비와 수소충전설비 간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설치토록 했는데 규제가 완화되면서 안전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상황이다.

youns@ekn.kr

김연숙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