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오염수 방류 5~7개월 뒤 韓해역서 방사능물질 나오면 책임"
野 "與, 횟집투어 말고 후쿠시마 한달 살라"…IAEA에 서한 계획도
![]() |
▲박구연(왼쪽 두번째)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이 2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정부 대응과 관련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
박구연 국무1차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정부 일일 브리핑에서 "일본 도쿄전력이 가동한 ALPS의 입·출구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받아 한국 시찰단이 분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 시찰단 단장인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은 전날 일일브리핑에서 지난 2013년부터 최근까지 ALPS 입·출구에서 측정된 모든 핵종의 농도 자료를 정밀분석한 결과 배출기준을 초과해 검출된 적이 있는 핵종이 모두 6개였으며 이 가운데 대부분은 2019년 이전에 포착됐다고 밝힌 바 있다.
박 차장은 유 위원장의 전날 발언을 언급하며 "현재까지 처리된 오염수 탱크 중 70%에서 배출 허용기준을 초과한 핵종이 최대 6개까지 검출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들어서도 매일 오염수 100t가량이 새로 발생하는데, 이는 ALPS를 통과했을 때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이 없는 것으로 잠정 파악했다"며 "ALPS 기술이 점점 향상되고 안정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박 차장은 이어 "기준치 초과 핵종이 검출됐다고 하더라도 바로 방류되는 것이 아니고 반복되는 재정화 과정을 거쳐 방류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ALPS를 활용해 하루에 정화할 수 있는 오염수의 양은 최대 2천t"이라며 "매일 신규로 발생하는 양이 100t, 하루 배출량이 최대 500t인 것을 고려하면 재처리 용량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여야는 상반된 입장을 내세우며 대치전을 이어갔다.
국민의힘 ‘우리 바다 지키기 검증 태스크포스(TF)’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7개월 뒤 국내 해역에서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이 검출된다면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다.
성일종 TF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해양수산부와 수산업계 대표자들이 참석한 회의를 마친 후 "민주당은 검증되지도 않은 외국 자료를 인용하며 5∼7개월 후 우리 바다로 방사능 물질이 유입될 것이란 주장을 계속해왔다"며 "5∼7개월 뒤 대한민국 바다에서 이런 방사능 물질이 나온다면 저희가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수매 비축을 통해 우리 수산물 가격을 지지하겠다"며 "전복 등 품목에 대해서는 할인행사를 바로 할인행사를 추진해 소비 유도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날 수산업계는 오염수 방류 논란에 따른 정부·여당의 조속한 지원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내용의 ‘수산인 건의서’를 당에 전달하기도 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와 관련 대정부 비판 공세 수위를 갈수록 끌어올리고 있다.
일본 측의 오염수 방류 준비가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정부 여당이 이를 막으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고 오히려 동조하고 있다며 맹비난을 퍼부었다.
박찬대 최고위원은 2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구연 국무1차장이 지난 26일 정부 브리핑 당시 "방류 결정을 되돌려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에 다른 방식을 제안하는 것은 신의성실 원칙상 맞지 않는다"고 언급한 데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국민의힘 원내 대표단이 횟집 등에서 잇따라 회식을 하는 것에 대해 "일본 홍보대사 같다"고 비난했다.
박광온 원내대표는 전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가 수산물 방사능 검사 확대 조치 이행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킬 때 여당이 퇴장한 것을 문제 삼으며 "깊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자신들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간담회가 불발된 것을 두고 "원안위가 브리핑 금지 조건을 추가로 내걸며 일방적으로 간담회를 무산시켰다"고 비판했다.
앞서 과방위 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26일 유국희 원안위원장을 만나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와 관련한 간담회를 요구했고 이날 개최를 전제로 세부 협의를 벌여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