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에서 무슨 일이?…신고가 행진 이어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6.29 15:49

일부 아파트 단지, 3개월 만에 2억원 급등
연수구 아파트 거래량 이미 지난해의 2배
전문가 "송도신도시는 우상향 기조로 갈 것"

송도

▲인천 연수구 송도신도시 아파트에서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에서 저멀리 보이는 송도신도시 전경.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인천 연수구 송도신도시 아파트에서 신고가가 속출하면서 그 이유와 향후 전망에 대한 수요자들의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인천 내에서 정주 요건이 양호한 송도 위주로 매수세가 살아나고 있지만 인천 내 다른 지역에서는 매수·매도인간 희망가격 격차가 유지되고 있다. 송도뿐 아니라 인천 시장 내에서 양측 간 줄다리기는 계속될 분위기다.

◇ 송도신도시에서 억대 상승…신고가 행진 이어져

29일 부동산 빅테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연수구 송도동 ‘더샵센트럴파크2차’ 전용면적 146㎡는 지난달 24일 22억5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3월 체결된 직전거래(20억5000만원)이자 기존 최고가에 비해 2억원 상승한 금액이다.

송도동 ‘송도더샵퍼스트파크(F15블록)’ 전용면적 108㎡는 지난 4월 11억8000만원에 계약을 체결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하지만 해당 단지 동일 면적은 지난달 16일 14억원에 계약서를 작성하면서 최고가를 경신했다. 불과 한 달 만에 2억원이 넘는 금액이 오른 것이다.

송도신도시에서 최근 기록된 신고가는 이뿐만이 아니다.

송도동 ‘송도자이하버뷰2단지’ 전용면적 84㎡는 지난 7일 8억2500만원에 거래되면서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월 거래(6억3500만원) 대비 2억원 가까이 오른 금액이다.

송도동 ‘송도아이파크’ 101㎡는 지난달 8일 6억5300만원에 계약을 체결했지만 불과 일주일 후인 지난달 15일 9억8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 거래량·바이오클러스터, 신고가 행진에 영향

이처럼 송도신도시에서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는 데에는 해당 지역의 거래량 증가가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연수구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1월부터 이날(29일)까지 총 3046건으로 이미 지난해(1547건) 거래량의 두 배 가량의 수치를 기록했다.

일부 수요자들 사이에서는 최근 기준금리 인상이 진정되면서 발생한 급매물 소진으로 인해 최고가 경신 행진이 발생했으며 이러한 현상이 지속된다면 향후 집주인들이 호가를 올려 아파트값이 추가 상승하고 신고가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기도 한다.

실제 연수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6월 넷째 주(26일 기준) 연수구 아파트값은 0.18% 오르면서 1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더해 단일 도시 기준 세계 최대 바이오 의약품 생산 역량을 자랑하는 ‘송도 바이오클러스터’ 또한 인구 유입을 통해 신고가 행진에 입김을 불어넣은 것으로 해석된다.

송도동 내 A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한때 송도 아파트 가격이 급락한 시기가 있었지만 최근 급매물 소진으로 집값이 오르고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 송도 바이오클러스터에 기업들의 입주가 이어지고 있어 향후 아파트값이 떨어질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인적으로 현재 송도 아파트값은 저평가돼있다고 생각한다"며 "2년 전 높은 가격에 전세로 들어간 임차인들마저 매수를 서두르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일부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유입이 송도신도시 신고가 행진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점을 시사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과거 송도신도시 가격이 대폭 하락하면서 지역 내 아파트 가격이 저렴하다는 인식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외자유치를 통한 지역 경제 산업기반을 갖춘 업체들이 송도에 대거 들어오면서 발생한 인구 유입으로 인한 수요 증가로 신고가가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이어 "송도신도시는 인천 내 랜드마크 지역인 동시에 산업이 뒷받침되는 지역이기 때문에 향후 우상향 기조로 가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향후 아파트값이 한 번에 대폭 오르지는 않겠지만 조금씩 꾸준하게 상승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daniel1115@ekn.kr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