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제로 음료’의 배신?…WHO ‘발암가능물질 분류’ 아스파탐 뭐길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6.30 16:48
2023051601000852900041341

▲(사진=픽사베이)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세계보건기구(WHO)가 설탕 대체 인공감미료 중 하나인 ‘아스파탐’을 발암 물질로 분류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관심이 쏠린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아스파탐을 처음으로 ‘사람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물질로 다음 달 14일 분류한다.

설탕의 200배 단맛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아스파탐은 1965년에 발견됐으나 ‘제로 음료’(무설탕 음료) 열풍으로 최근 더 주목받고 있다. 음료뿐만 아니라 껌, 사탕은 물론 생막걸리 일부에도 포함됐다.

블룸버그·로이터 통신 보도 등을 토대로 아스파탐과 관련한 내용을 문답으로 정리했다.


-- 아스파탐은 무엇인가.

▲ 1965년 미국 화학자 제임스 슐래터가 항궤양 약물을 연구하다 우연히 발견했다. 아미노산 2개(페닐알라닌·아스파르트산)가 연결된 화학물질이다.

단맛이 강한 데 비해 칼로리가 적어 식품업계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에 민감한 소비자들에게도 인기가 높았다.


-- 아스파탐은 어디이 사용되나.

▲ 코카콜라, 펩시 등을 포함한 글로벌 대기업들이 음식과 음료에 설탕 대체제로 활용하고 있다. 뉴트라스위트, 이퀄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 아스파탐에 대한 WHO의 의견은.

▲ 로이터에 따르면 WHO는 아스파탐에 대한 보고서 2건을 다음달 14일 공개한다. IARC는 이 보고서를 통해 암 위험에 대해 조명할 계획이다.

WHO 산하의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도 같은 날 아스파탐에 대한 평과 결과를 공개한다. JECFA는 안전한 하루 소비 기준, 암을 제외한 기타 부작용 등의 내용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WHO는 인공감미료가 체중조절에 장기적으로는 효과가 없고 되레 당뇨나 심장병 위험을 키울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 물질의 인체 암 유발 여부에 대해 IRAC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 IRAC의 구분 기준은 총 네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암을 유발할 수 있다’(carcinogenic to humans)로 가공육, 담배, 석면 등이 해당되며 이들이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증거가 확실히 있다.

두 번째는 ‘암을 아마 유발할 수 있다’(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로 밤을 새 일하거나 붉은 고기를 섭취하는 것이 해당된다.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증거가 제한적이지만 동물에게 암이 유발된다는 증거가 충분하거나 발암물질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을 경우에 여기에 분류된다.

세 번째는 ‘사람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로 분류 예정인 아스파탐에 이어 스마트폰의 전자파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인체 자료가 제한적이고 동물 실험 자료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론 ‘사람에 대한 발암성에 대해 분류할 수 없다’(not classifiable as to its carcinogenicity to humans)로 자료가 없을 때 해당된다.


-- 아스파탐에 대한 현재 가이드라인은.

▲ 1981년 JECFA의 첫 평가 결과, 하루에 체중 1kg당 40mg(밀리그램) 이내의 아스파탐 섭취가 안전하다고 결론이 나왔다. 유럽식품안전청에 이어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이러한 허용량이 안전하다는 입장이다. 성인 60kg 기준으로 보면 하루 최대 2400mg의 아스파탐이 일일 제한량이다.

반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아스파탐의 일일 허용 섭취량을 1㎏당 50㎎으로 정했다.


-- IRAC를 둘러싼 논란은
▲ IRAC의 구분법은 물질이 얼마나 위험한지보다 증거 여부에 기반됐다는 점에서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국제 감미료 협회(ISA)측은 "IARC는 식품 안전기구가 아니며 IARC의 아스파탐 평가는 과학적으로 포괄적이지 않고 신빙성이 떨어지는 연구에 과하게 의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스파탐에 관한 연구는 수년 동안 광범위하게 이뤄졌다. 지난해 프랑스에서 성인 10만 명을 대상으로 관찰 연구를 진행한 결과 아스파탐을 포함한 더 많은 인공 감미료를 섭취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암에 걸릴 확률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초반 이탈리아에서 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선 쥐에게 발생한 암이 아스파탐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프랑스 연구에선 아스파탐이 발암 위험을 더 높인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고 이탈리아 연구에선 방법론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이에 IARC 측은 아스파탐의 분류에 대해 더 많은 연구를 촉진하고 소비자와 관련 기관, 제조사들이 더 확실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 업게 반응은.
▲ 미국 음료협회는 "아스파탐이 안전하다는 공감대는 과학계는 물론 규제 당국에서도 형성돼 있다"며 "이는 전 세계 식품 안전 당국이 몇 번이고 내린 결론"이라고 블룸버그에 전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