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2주간 ‘정권퇴진’ 단체 행동···"반노동 정책 도 넘었다"
"경제 어려운데" 경영계 반발···車·조선 등 임단협도 난항 예고
![]() |
▲3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민주노총 총파업 돌입 선언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노동계 ‘하투(夏鬪)’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2주간 총파업을 시작한 가운데 경영계는 이에 반발하며 날을 세우고 있다. 노사 갈등이 ‘살얼음판’을 걸으면서 자동차, 조선, 철강 등 주요 업종의 올해 임단협도 난항이 예상된다.
3일 노동계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이날부터 15일까지 2주간 총파업에 돌입한다. ‘윤석열 정권 퇴진’ 기치를 내걸고 최대 50만명의 조합원이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 민주노총의 설명이다.
민주노총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69시간제’로 대표되는 근로시간 개편, 건설노조를 중심으로 한 노조 탄압, 노조 회계자료 제출 요구 및 과태료 부과, 집회·시위 금지·제한 등 정부 반노동 정책이 도를 넘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노동조합법 2·3조’ 통과, 최저임금 인상 등도 요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경영계도 크게 반발하고 있다. 민주노총 파업이 정부를 겨냥한 행동이긴 하지만 곳곳에서 노사 대립을 야기할 방아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경제6단체는 민주노총 총파업이 시작되자 공동성명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큰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며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수출이 크게 둔화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산업전환과 수주량 감소, 설비투자 부진으로 인한 수요 감소까지 예상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제주체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상황에서 민주노총은 2주간 총파업을 강행하겠다고 밝혔다"며 "민주노총이 경제와 산업에 부담을 가중시키는 불법 총파업을 중단하고, 경제 회복과 일자리 만들기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고 호소했다.
경제6단체는 △민주노총은 불법 정치파업에 명분이 없다는 점 △정부가 불법파업에 엄정 대처해야 한다는 점 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경제계는 산업현장의 법치주의 확립을 통한 노사관계 선진화와 경제회복,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적극 매진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자동차, 조선, 철강 등 개별 기업의 노사 관계에도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HD현대중공업 노조는 울산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제출했다. 조만간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하고 ‘하투’를 본격화한다는 구상이다. HD현대중공업 노사는 지난 5월 상견례를 하고 총 12차례 교섭을 진행했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새 주인을 찾은 한화오션 분위기도 심상치 않다. 노조 측이 기본급 18만4900원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은 8만8000원으로 합의를 보자고 제안한 상태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단체협약에 ‘누구나 평생 신차할인’ 안건을 추가하고 싶어한다. ‘2년마다 신차 25% 할인’ 혜택을 모든 정년 퇴직자에게 적용하겠다는 게 노조의 생각이다. 기존에는 25년 이상 장기 근속한 정년 퇴직자에게만 적용됐다.
현대제철 노조는 현대차·기아와 비슷한 수준의 임금인상과 성과급 지급을 요구해 사측과 대립이 불가피해 보인다. 수년간 적자를 쌓다 최근 흑자전환에 성공한 한국지엠 노사도 협상 테이블에서 접점을 찾기 힘들 것으로 관측된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