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상승세 언제까지?...6억원 이하 아파트 2년 전보다 18%p ↓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7.12 13:06

6억원 이하 민간분양 비중 2021년 90.5%...올해 72%
3.3㎡당 평균 분양가 2021년 1467만원...올해 1908만원

PYH2022121105130001300_P4

▲분양가 상승이 이어지며 6억원 이하 분양 아파트 비중이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사진은 높은 곳에서 바라본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지속적인 분양가 상승으로 6억원 이하 민간분양 아파트 가구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1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지난 6일까지 청약 접수를 완료한 민간분양 아파트 일반공급 물량 3만3925가구 중 분양가 6억원 이하는 2만4412가구(72.0%)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6억원 초과 9억원 이하 6560가구(19.3%), 9억원 초과 15억원 이하 2666가구(7.9%), 15억원 초과 287가구(0.8%) 순이었다.

분양가 6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 비중은 2021년 90.5%를 기록한 후 지난해 76.8%, 올해 72.0%로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고금리, 고물가, 공사비 인상 등과 함께 연초 규제 완화로 사업 주체가 분양가를 책정할 때 운신의 폭이 넓어진 것이 분양가 상승을 이끈 원인으로 풀이된다.

민간분양 아파트의 3.3㎡(평)당 평균 분양가(일반공급 가구 기준)는 2021년 1467만원, 지난해 1729만원, 올해 1908만원으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가운데 상승액은 분양가 구간별로 차이를 보였다.

전년 대비 올해 평당 평균 분양가는 9억원 초과 15억원 이하 구간에서 277만원(2651만원→2928만원) 올라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15억원 초과 구간은 165만원(2989만원→3154만원), 6억원 초과 9억원 이하 구간 162만원(2159만원→2321만원), 6억원 이하 구간 53만원(1423만원→1476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올해 분양가가 가장 많이 오른 9억원 초과 15억원 이하 구간은 작년보다 평균 전용면적(116㎡→96㎡)도 크게 줄어들면서 가성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분양가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청약 수요는 최근 수도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활기를 되찾고 있다. daniel1115@ekn.kr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