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 5개 산학융합원 공동 ‘스마트제조 고급인력 양성사업’ 워크숍 모습. 사진=(사)부산산학융합원. |
18일 부산산학융합원에 따르면 이번 사업수행 운영기관 역량강화 워크숍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지원하는 ‘스마트제조 고급인력 양성사업’을 수행하는 전국의 5개 산학융합원이 공통으로 참여한 워크숍이다. 또 관련 수행기관 관계자 이외에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테크노파크 등의 관계자를 초빙해 전국 17개 지역에 설립된 산학융합원이 지역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워크숍에서는 2021~2023년 스마트제조 고급인력 양성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전국 5개 산학융합원(전남여수, 부산, 울산, 전북, 전남대불)이 참여해 선행 운영기관인 여수의 후속사업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사업 수행중인 부산, 울산, 전북의 사업 수행성과 및 사업수행 시 노하우 등을 공유하는 것은 물론, 신규 운영기관인 전남대불은 앞으로의 사업 수행계획 등을 공유, 사업 수행 시 유의점 등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또한 5개 산학융합원 관계자 이외에도 사업 담당 회계법인 관계자를 초빙해 사업비 집행 관련 유의점과 테크노파크 지산학협력단장의 ‘지산학 협력기반 인재양성 방안’을 주제로 지역 및 지자체·산업계·학계가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봤다.
이어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지역산업단장은 ‘기술이전·사업화 및 지역산업 정책의 이해’라는 주제로 기술의 중요성, 기술이 사업화가 되기까지의 과정, 사업화 된 기술을 잘 수행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노력 등을 알아보면서 지·산·학 기반 인재양성 및 기술 사업화를 위한 산학융합원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편 부산산학융합원은 부산 강서구 미음산단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미음산업단지와 서부산권 주력산업의 ‘교육·R&D·고용’이 선순환 되는 산학일체형 산학협력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산업통상부와 부산시 등의 지원으로 설립된 기관이다. 그간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청년맞춤형 지원사업 △I-connect 사업 등을 수행해 왔고, 현재 △스마트제조 고급인력 양성사업 △산업단지 통합 관제센터 구축사업 △국가혁신 클러스터 인력양성 사업 △스마트특성화 기반 구축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산업단지 내 대학과 기업이 물리적 통합체를 이뤄 연구혁신 자원을 공유하고 공동 개발하는 공유혁신플랫폼 구축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fort0907@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