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침체 및 내수감소에도 수출 물량 증가로 극복
경유 수출 비중 41% 차지…대미 휘발유 수출은 95% 증가
![]() |
대한석유협회는 26일 이 같은 내용과 함께 석유제품 수출이 2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수출량은 팬데믹 영향으로 2021년 약 1억9600만 배럴로 급감해 10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이후 글로벌 이동수요 증가 등에 2년 연속 증가하고 있다.
다만 수출금액은 국제유가 약세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으로 같은 기간 22.1% 감소한 218억1100만달러를 기록했다. 석유제품 수출단가에서 원유 도입단가를 뺀 수출 채산성도 글로벌 정제마진 악화로 52% 가량 감소한 배럴당 11.4달러에 그치며 정유업계의 상반기 경영실적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석유제품 중 최다 수출품목은 경유(41%)가 차지했으며 휘발유 20%, 항공유 19%, 나프타8.0%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항공유는 최근 글로벌 여객수요 증가로 수출이 20.6% 늘었고, 나프타는 중국과 일본으로 수출이 확대되며 41% 증가했다.
국가별 수출 순위로는 호주(18.2%), 싱가포르(11.8%), 중국(11.2%), 일본(10.1%),미국(9.6%)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부터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한 호주는 올해 상반기에도 항공유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수출 물량이 25.6% 늘어나며 주요 수출국 중 최고 증가율을 보였다.
실제로 호주의 올해 1분기 항공유 수요는 67% 증가했고, 연말까지 항공수요도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
대미 휘발유 수출량도 전년 대비 95% 증가한 525만배럴로 반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주요국에 대한 석유제품 수출 증가에도, 향후 석유제품 수출은 글로벌 경기둔화로 인한 수요감소 우려와 OPEC+의 감산정책에 따른 유가 변동성 확대 등 불확실한 대외여건 등으로 증가세 지속을 낙관하기 불투명하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국내 정유업계는 러시아산 저가 원유 수입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중국, 인도 등과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해외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며 "정유업계는 세계 각국으로 저변을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