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작년 생산실적 발표...GDP 5% 차지
축산물 12/5% 증가…육류 소비, 쌀 앞질러
![]() |
▲2022년 국내 식품산업 상위 20개 품목 생산실적 현황.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은 2022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전년도 93조1580억원보다 12.7% 증가한 105조110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 100조원을 돌파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로써 지난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총생산(GDP)의 4.9%, 국내 제조업 총생산의 19.1%를 차지했다.
특히, 최근 5년(2017~2021년) 연평균 증가율 5.5%와 비교해 7.2%P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식품 관련 모든 업종이 전반적으로 성장한 가운데, 전체 식품산업 생산실적의 97.4%를 차지하는 ‘식품 등’과 ‘축산물’의 생산실적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식품제조가공업, 식품첨가물 등을 포함하는 ‘식품 등’은 지난해 생산실적이 67조7062억원으로 전년대비 13.2% 증가했고, 식육가공, 유가공 등을 포함하는 ‘축산물’은 34조4998억원으로 12.5%, ‘건강기능식품’은 2조8050억원으로 3.4%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식품 등’을 보면, 가정간편식(HMR)과 탄산음료류가 전년대비 각각 14.1%, 15.1% 성장했다. 특히, 간편조리세트(밀키트)가 228.3%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축산물’의 경우, 지난해 식품별 생산실적 상위품목은 1위 돼지고기 포장육, 2위 쇠고기 포장육, 3위 양념육류 순이었다. 특히, 식습관의 서구화로 지난해 기준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58㎏으로, 쌀 소비량 56㎏을 넘어섰다.
‘건강기능식품’은 홍삼이 부동의 1위를 차지했고, 비타민·무기질 제품, 단백질 제품 생산실적도 크게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건기식 생산실적의 증가율 3.4%는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보다 12.9%P 낮은 수치로, 이는 코로나19 종료로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코로나 기간에 비해 떨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식품업체 상위권의 순위 변동도 눈에 띈다. 지난해 생산실적 1조원 이상인 업체가 식품제조·가공업체 8곳, 유가공업체 1곳 등 총 9곳으로 나타났으며, 전년도에 비해 삼양식품, 삼양사, 대상 등 3곳이 추가됐다.
1위는 전년도와 같이 CJ제일제당이 차지했으며, 전년도 2조3217억원 대비 30.3% 증가한 3조243억원의 생산실적을 기록했다.
2위는 전년도 3위였던 농심이 2조2280억원을 기록해 한 계단 올라섰고, 3위 롯데칠성음료는 2조2196억원을 기록했다. 이밖에 4위와 5위는 각각 전년도와 같이 하이트진로(1조 6689억원), 오뚜기(1조3580억원)가 차지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생산실적 자료가 식품산업 분야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향후에도 식품산업의 제품 분석·연구와 정부정책 수립 등 식품산업 발전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