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연합뉴스 |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28일 서울시는 강제추행 혐의로 재판받고 있는 임 작가가 시립 시설 내에 설치한 작품을 철거한다고 밝혔다.
시는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작가 작품에 대한 유지·보존이 공공미술 취지와 부합하지 않아 철거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2023년 7월 시립시설에 설치된 임 작가 작품은 총 5점으로 알려졌다.
중구 남산에는 일본군 위안부를 추모하는 ‘기억의 터’가 조성됐다. 시청 서소문청사 앞 정원에 설치된 ‘서울을 그리다’, 마포구 하늘공원 ‘하늘을 담는 그릇’, 성동구 서울숲 ‘무장애놀이터’, 종로구 광화문역 내 ‘광화문의 역사’ 등도 있다.
5개 모두 조형물인 설치 미술작품으로 다음 달부터 순차 철거할 계획이다.
다만 시는 위안부 여성과 관련된 ‘기억의 터’는 철거를 원칙으로 하되 조성 당시 조성위원회, 모금 참여자 등 관계자 의견을 충분히 청취하는 절차를 밟기로 했다.
기억의 터는 설치 당시 ‘건립 추진위원회’를 통해 진행됐고, 시민 모금 절차도 이뤄졌다.
‘1세대 민중미술작가’로 불리는 임 작가는 그간 다양한 사회비판적 작품을 선보여왔다. 특히 문재인 정부가 출범했던 2017년에는 광화문광장 촛불집회를 담은 그림 ‘광장에, 서’가 청와대 본관에 걸리기도 했다.
그러나 임 작가는 지난 2013년 8월 자신의 연구소 직원으로 일하던 한 여성을 강제 추행한 혐의로 수사 받은 끝에 지난달 9일 불구속 기소됐다.
이에 검찰은 임 작가에게 징역 1년을 구형했고, 그는 재판에서 혐의를 모두 인정했다. 선고는 8월 17일 이뤄진다.
이밖에도 서울시는 박원순 전 시장 성범죄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첫 변론’ 제작자에게 시사회 중단과 상영 중지를 요청키로 했다.
시는 다큐멘터리 제작위원회인 ‘박원순을 믿는 사람들’과 김대현 감독에게 관련 공문을 발송할 예정이다.
시는 박 전 시장 사건이 법원과 국가인권위원회에 의해 사실로 드러났다며 그를 옹호하는 영화의 시사회와 상영 강행이 피해자에 대한 명백한 2차 가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사건 피해자와 가족에게는 심리상담 비용과 의료비를 지원해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전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