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확산세 급증, 재유행 우려…‘변이·방역완화’ 영향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7.30 09:32
코로나 확진자 증가에 편의점 자가진단키트 수요 '쑥'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증가 추이를 보임에 따라 재유행이 또다시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30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7월 셋째 주(7월 16∼22일) 확진자는 25만 3825명으로 전주 대비 35.8% 증가했다. 4주 연속 증가세다.

지난 19일 신규 확진자는 4만7029명으로, 겨울 재유행이 정점을 지난 후인 지난 1월 11일(5만4315명) 이후 6개월여 만에 최다였다. 추세가 계속되면 곧 5만 명대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마스크 의무 해제 등 방역정책 완화와 거듭된 변이 출현으로 면역력이 약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는 최근 페이스북에 "기존 면역을 회피하는 특성을 가진 변이가 계속해서 출현하고, 복합면역이 형성됐더라도 시간이 지나 감염 예방효과가 감소했다"며 ‘예견된 유행’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6월 일상회복 선언 이후 코로나19 검사를 받는 적극성이 떨어졌을 것을 고려하면 숨은 감염자는 더 많을 것으로 점쳐진다.

최근 고령층 확진자는 더 가파르게 늘어나는 등 고위험군에 대한 우려도 커지면서 방역당국의 메시지도 더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르면 내달 코로나19가 감염병 4급으로 조정되면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과 입소형 감염취약시설 등 일부에 남아있던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된다.

감시체계가 전수감시에서 표본감시로 바뀌며 확진자 수 집계도 중단된다.

검사비와 치료비는 대부분 자부담으로 전환(건강보험 적용)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 해제에 따른 감염 우려와 함께 지원과 집계 중단으로 ‘깜깜이 감염’이 증가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오는 10월 오미크론 XBB 계열 변이를 기반으로 한 새 백신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할 계획이다. 일단 전 국민이 무료로 맞을 수 있다.

질병청 관계자는 "10월 도입 예정인 백신은 XBB 1.5뿐 아니라 1.16, 1.9.1, 1.9.2등 현재 유행 중인 XBB 계열에 대부분 효과가 있다"고 연합뉴스를 통해 전했다.

지난 동절기 추가접종의 60세 이상 접종률이 34.5%로 저조했던 만큼 정부가 일상회복 절차에 속도를 내면 백신 호응도가 떨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질병청 관계자는 "의료진과 협력해 환자들에게 백신에 대해 적극 알리도록 교육하고, 독감과 동시에 코로나 접종도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