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국토교통부 e-모빌리티 '투자선도지구'에 선정···사업비 100억 확보
영광 대마제2산업단지레 총 사업비 685억원 투입,23만7148 ㎡ 규모로 조성
e-모빌리티 콤플렉스,인력양성센터 등 산업생태계 구축...지역경제 활성화
![]() |
▲전남도 ‘e-모빌리티 투자선도지구’ 기본구상안 |
도는 수출상담회, 박람회 참가 등을 통해 1511억 원의 수출협약을 체결하는 등 앞으로 해외 바이어 유치·주한대사관 초청·해외수출지원단 등을 통해 e-모빌리티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투자선도지구 선정으로 건폐율 완화, 인허가의제 등 규제특례 73종과, 법인세, 개발부담금 등 세제·부담금 감면 혜택이 부여된다. 클러스터 단지와 함께 e-모빌리티 복합단지(콤플렉스), 특화공원 등도 조성될 예정이다.
e-모빌리티 클러스터는 총 사업비 685억 원(국비 100억·지방비 385억·기타 200억)을 투입해 2026년까지 총 23만7148㎡ 규모로 조성된다.
영광 대마전기자동차 제2산단을 조성(332억 원)하고, e-모빌리티 콤플렉스(51억 원)를 인력양성센터, 해외수출지원단, 자기인증 지원시스템 등과 함께 구축해 해외 수출 지원과 기업 역량 강화에 기여토록 할 방침이다. 자기인증제도는 ‘자동차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제조사 스스로 인증하는 제도다.
특화공원(52억 원)에는 체험·경진대회 트랙을 조성한다. 대학생 자작자동차 경진대회(Formula, Baja)를 유치하는 등 산업인재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클러스터 내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250억 원) 150가구를 건설에 기업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등 e-모빌리티 관련 기업 유치 여건도 조성된다.
전남도는 실외성능시험장, e-모빌리티 연구센터, 초소형전기차 개방형 공용플랫폼 개발, 초소형 e-모빌리티 부품 시생산 지원기반 구축 등 기반 구축부터 산업 확산까지 단계별로 총 15개 사업에 3300억 원을 확보해 e-모빌리티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이와 함께 2024년부터 조성할 e-모빌리티 클러스터 투자 선도지구와 연계해 전남을 e-모빌리티 산업의 메카로 육성할 계획이다.
김종갑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이번 e-모빌리티 클러스터 투자 선도지구 선정과 해외 수출 확대를 통한 시장 활성화, 기업 유치 등으로 활력을 불어넣게 됐다"며 "e-모빌리티 시장 확대와 기술력을 갖춘 중소·중견기업 유치 등 클러스터 구축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무안=에너지경제신문 이정진 기자 leejj0537@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