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치로 부수고 쓰레기봉투 담고…대장동 ‘폰 수난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8.02 08:42
clip20230802084153

▲마스크 고쳐 쓰는 박영수 전 특검.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정치적 명운이 걸린 이른바 ‘대장동 비리 의혹’ 수사가 거듭 진행 중인 가운데, 휴대폰 멸실을 통한 증거인멸 추정 행위가 지속 포착되고 있다.

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엄희준 부장검사)는 박영수(71) 전 특별검사 구속영장 청구서에 ‘의도적 증거인멸’ 정황을 제시해 구속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특검이 휴대전화를 폐기한 시점은 올해 2월 16일로 특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이날 공범인 양재식(58) 전 특검보를 만나 2014년 대장동 민간업자 남욱씨에게서 받은 변협 회장 선거자금 등 향후 수사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사안과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런 논의 직후 박 전 특검이 기존에 쓰던 휴대전화를 망치로 내리쳐 폐기하고 새 휴대전화를 개통했다는 게 검찰 조사 결과다.

검찰은 이에 "박 전 특검과 양 전 특검보 사이에 증거인멸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고 볼 만한 강력한 정황"이라고 지적했다.

검찰이 박 전 특검에 대한 압수수색으로 수사를 본격화한 것은 이로부터 한 달 이상 지난 3월 30일이었다.

검찰은 야권을 중심으로 특검론이 제기되자 박 전 특검이 일찌감치 ‘행동’에 나선 것으로 봤다.

검찰이 지목한 2월16일에는 당시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공식적으로 "50억 클럽 특검이 불가피하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검찰은 3월 30일 박 전 특검에 대한 강제수사가 이뤄지기 직전에도 증거인멸이 이뤄진 정황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측근 양 전 특검보 사무실 직원이 사용하던 노트북 컴퓨터가 압수수색 닷새 전 포맷됐고, 사무실 자료도 미리 정리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역시 국회에서 특검법안의 패스트트랙 지정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던 시기와 맞물린다.

특히 대장동 의혹을 둘러싸고 증거인멸 의혹이 제기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유동규 성남도시개발공사 전 본부장도 지난 2021년 9월 29일 검찰 압수수색 당시 휴대폰 폐기를 적극적으로 시도한 바 있다.

유 전 본부장 배우자 A씨는 유 전 본부장 부탁으로 그가 쓰던 휴대폰을 폐기한 혐의로 올해 1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및 사회봉사 80시간을 선고 받았다.

이에 앞서 A씨는 검찰이 유 전 본부장 주거지를 압수수색 하기 직전 유씨의 연락을 받고 미리 맡아둔 휴대전화를 부순 뒤 쓰레기봉투에 담아 버린 혐의로 기소됐다.

이재명 대표 왼팔, 오른팔로 불리는 김용 민주연구원 전 부원장과 정진상 전 당 대표 비서실장 등은 유 전 본부장 휴대폰 폐기 직전까지 수차례 연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유 전 본부장은 정 전 실장 지시로 휴대폰 폐기를 실행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hg3to8@ekn.kr

안효건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