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더위 실제로 '열받게', 열스트레스 지수 어디까지 오를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8.02 09:24
clip20230802090814

▲권역별 여름철 열 스트레스 지수 미래 전망표.기상청/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권금주 기자] 기후 변화로 인한 무더위와 폭염에 열 스트레스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열 스트레스 지수 전망치를 공개했다.

열 스트레스 지수는 세계기상기구(WMO)와 세계보건기구(WHO)가 공동으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등록한 지수인 ‘습구흑구온도’(Wet-Bulb Globe Temperature)를 말한다. ‘더위지수’로도 불리는 습구흑구온도는 습구·건구·흑구온도를 가지고 계산하므로 기온·습도·일사량·풍속 등이 반영된다.

이 지수는 습도가 높을수록 높아진다.

예를 들어 2021년 8월 6일과 7일 서울의 최고기온은 각각 32.2도와 32.3도로 비슷했지만 최소 습도는 57%와 48%로 차이가 났다. 이에 따라 열 스트레스 지수는 습도가 더 높은 6일이 32.9도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7일이 31.3도였다. 전자는 ‘매우 높음’에 해당했지만, 후자는 그보다 한 단계 낮은 ‘높음’ 범주에 들었다.

열 스트레스 지수는 온열질환자 수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열 스트레스 지수가 30도 이상이 되면 급증하기 시작해 32도 이상 구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1979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 여름철 열 스트레스 지수는 28.1도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중 ‘빠른 산업기술 발전에 중심을 둬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고 도시 위주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경우’를 가정한다면(SSP5-8.5 시나리오), 우리나라 여름철 열 스트레스 지수는 이번 세기 후반(2081~2100년) 35.8도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된다.

‘재생에너지 기술이 발달해 화석연료를 최소한만 사용하고 친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룰 경우’(SSP1-2.6)에도 지수가 31.2도까지 오를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10% 이상 지역 열 스트레스 지수가 ‘상위 5% 기준값’(현재 전국 평균 32.8도)을 넘는 날을 말하는 ‘극한 열 스트레스 일’은 현재 7.6일이다. 그러나 SSP5-8.5 시나리오를 적용하면 금세기 후반 94.2일로 12배로 증가하게 된다. SSP1-2.6 적용 시엔 48.8일로 6.4배 늘어난다.

극한 열 스트레스 일이 연속해서 이어지는 기간은 현재 최장 3.5일인데 SSP5-8.5와 SSP1-2.6 시나리오에서 각각 77.6일과 27.5일로 길어질 전망이다.

기상청은 "현재 전 권역에서 9일 미만으로 발생하는 극한 열 스트레스 일이 금세기 후반에는 6월 중순부터 9월 중·하순까지 90일 이상 나타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최대 지속 기간도 3~4일에서 70~80일로 증가하겠다"라고 설명했다.

동아시아 여름철 열 스트레스 지수는 이번 세기 후반까지 현재(26.1도)보다 3.1~7.5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동아시아 극한 열 스트레스 일은 4.7일에서 42.8~103.8일로, 극한 열 스트레스 일 최대 지속 기간은 2.4일에서 15.1~68.2일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동아시아를 6개 권역으로 나눴을 때 한반도는 중국 동북지역 다음으로 열 스트레스 지수가 많이 오를 지역으로 꼽혔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지구온난화로 고온현상이 더 자주, 더 극심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극한기후에서 안전·건강과 관련한 다양한 분석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kjuit@ekn.kr

권금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