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L&B, 24도 고도주 '킹소주'로 재도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8.02 16:55

제주소주 철수 2년만에 희석식 소주 연내 출시
내년 증류식 소주도 추가…고도주 차별화 주력
작년 이어 올해 와인 실적 저조 따른 대응전략

제주소주_푸른밤

▲현재는 단종된 제주소주의 ‘푸른밤’ 소주. 사진=신세계L&B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소주사업에서 쓴맛을 봤던 신세계L&B가 ‘소주 재도전’에 나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 2020년 ‘제주소주’ 사업을 철수한 지 2년 만에 희석식 소주 출시를 서두르고 있다. 다만, 시장경쟁이 심한 ‘저도주’를 피해 고도주로 승부수를 띄운 게 2년 전과 다른 점이다.



◇24도 고도주…증류식 소주도 손댄다

2일 신세계L&B에 따르면, 희석식 소주 신제품 ‘킹소주24’의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구체적인 출시 일정은 공개하고 있지 않지만 특정 유통채널에 한정수량으로 연내에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L&B는 일단 특색 있는 주류 제품을 찾는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기획상품 형태로 내놓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미 ‘킹소주24’ 상표 등록도 마친 상태다. 앞서 지난달 초 ‘쎄주24’, ‘부강소주24’ 등의 상표권으로 출원했지만 ‘킹소주24’로 최종 확정돼 앞의 두 상표권은 취소됐다.

이름에서 드러나듯 이 제품의 알코올 도수는 24도로 희석식 소주 치고는 다소 높다. 업계는 저도주 소주시장의 경쟁이 극심한 점을 고려해 리스크 회피와 신제품 차별화 차원에서 고도주 전략을 채택한 것으로 풀이했다.

실제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참이슬 후레쉬(16.5도)’, ‘처음처럼(16도)’ 등 경쟁사 제품만 봐도 대다수가 알코올도수 평균 16도 초중반대를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저도수 바람이 더 거세지면서 올 들어 충청권 주류업체 맥키스컴퍼니가 업계 처음으로 14도대 소주까지 내놓았고, MZ세대를 중심으로 소주에 토닉워터를 타 마시는 하이볼의 인기로 국내 음주문화마저 바뀌고 있는 와중에 신세계L&B의 고도주 전략이 대조를 이뤄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이다.

신세계L&B는 희석식 소주에 이어 내년에는 증류식 소주 출시도 검토하고 있다. 통상 증류식 소주는 알코올 도수 20도를 넘는 고도주를 의미한다. 우창균 신세계L&B 대표도 지난 3월 이마트24의 상품전시회에 참석해 "증류식 소주 출시 계획이 있다"고 표명한 바 있다.

따라서, 주류업계는 신세계L&B가 희석식 고도주로 소주시장 진입을 성사시킨데 이어 증류식 고도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강한 사업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한다.



◇수익 반토막에 사업 다각화 집중

지난 2016년 말 정용진 부회장의 주도 아래 신세계그룹은 이마트를 통해 제주소주를 자회사로 인수하고 희석식 소주 ‘푸른밤’을 내놓았다. 출시 4개월 만에 300만 병 이상 팔리는 등 판매 초기에는 반짝 인기를 거뒀지만 유흥시장 공략에 실패하며 영업 손실이 지속돼 2021년 사업 철수 수순을 밟았다.

이후 제주소주 법인을 청산한 뒤 제주공장의 경우 신세계L&B에 귀속됐다. 해당 공장은 지난해 말부터는 동남아시아 지역 등을 중심으로 수출용 과일소주를 생산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업계는 신세계L&B가 소주시장에 다시 출사표를 던진 이유로 주력 품목인 와인 수요가 줄어들자 새 먹거리를 찾아 나선 것이라 분석하고 있다. 그동안 신세계L&B는 매출 구조가 와인 사업에 치우쳐져 있다는 지적이 계속된 만큼 더욱 뼈아플 것이라는 설명이다.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와인 수입량은 3만1300톤으로 전년 동기보다 10.8% 감소했다. 2021년 상반기 4만4000톤으로 반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나, 지난해 상반기 3만5100톤까지 떨어졌고 올해까지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와인 업황이 악화되면서 신세계L&B 실적도 나빠졌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신세계L&B 매출액은 2063억원으로 전년(2000억원)보다 3.2%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12억원에서 116억원으로 사실상 반토막났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지난해까지 유지해 오던 연 30% 매출 성장 폭도 대폭 축소됐다.

신세계L&B 관계자는 "수입주류 운영사 특성이 반영되면서 환율과 현지 원가 상승에 따라 재료 구매가격·운임비가 오르면서 비용도 늘어 이익율 하락으로 이어졌다"면서 "주류시장 트렌드를 파악해 다양한 기획성 상품을 출시하는 등 와인시장 침체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inahohc@ekn.kr

조하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