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락했던 영끌족 성지 ‘노도강’서 상승 거래 속출…분위기 반등되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8.08 14:58

지난해 가장 큰 하락률 기록했던 ‘노도강’에서 반등 신호 포착



부동산 관련 모든 지수 반등 가리켜…낮은 가격과 거래량 증가 주효



전문가 "노도강 상승세 분명하지만 얼마나 갈지는 지켜봐야"

2023011901001014700045401

▲‘영끌족’의 성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에서 상승 거래가 이어지면서 그 이유에 대한 궁금증이 커져가고 있다. 사진은 서울 노원구 한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지난해 서울 내 자치구 중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던 ‘영끌족’(영혼까지 끌어 모아 대출받은 사람들)의 성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에서 상승 거래가 속출하면서 분위기 반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집값 낙폭이 큰 데 따른 저가매수세가 유입된 가운데 연초 정부의 규제 완화, 저리의 정책모기지 출시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8일 아파트 실거래가 빅데이터 아실에 따르면 노원구 하계동 ‘하계현대’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10일 8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지난 2월 3일 거래 금액(6억7500만원)에 비해 1억7500만원이나 상승했다.

노원구 월계동 ‘꿈의숲SK뷰’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1일 8억5000만원에 계약서를 작성하면서 지난 3월 거래(7억5000만원) 보다 1억원이 반등했다.

도봉구 도봉동 ‘도봉한신’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25일 6억원에 계약을 체결하면서 지난해 11월 거래 금액인 4억5500만원 대비 1억5000만원 가까이 상승했다.

도봉구 창동 ‘삼성래미안’ 전용면적 84㎡는 지난 6월 2일 7억8000만원에 계약서를 작성하면서 지난 1월 거래(7억원)에 비해 8000만원 올랐다.

강북구 미아동 ‘꿈의숲효성해링턴플레이스’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11일 9억1500만원에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단지 동일 면적은 지난 6월 8억4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약 한 달 만에 7500만원이 오른 것이다.

같은 지역 ‘SK북한산시티’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4일 6억6500만원에 거래되면서 지난 3월 매매가격(5억5000만원)에 비해 1억1500만원 급등세를 연출했다.


◇ 상승 거래 이유는 바닥론·거래량

이처럼 노도강에서 상승 거래 행진이 이어지는 것은 지난해 큰 폭 하락한 해당 지역 아파트 가격과 이로 인한 거래량 증가 영향으로 풀이된다.

노도강 아파트 가격은 지난 한해 서울 내 자치구 중 가장 큰 폭의 하락률을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노원구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12.02% 떨어지며 서울 내 지역 중 가장 큰 폭의 하락률을 기록했으며 도봉구(-11.80%)와 강북구(-9.58%)는 각각 2위·4위로 집계됐다.

이처럼 해당 지역에서 큰 폭의 하락률이 목격되자 아파트 가격이 바닥을 찍었다는 인식이 퍼지며 수요자들이 다시 노도강 아파트에 눈을 돌린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노도강 아파트 거래량은 올해 들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6월 노원구 아파트 거래량은 273건으로 지난 1월(133건) 대비 105%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도봉구 아파트 거래량은 67건에서 110건, 강북구는 24건에서 127건으로 각각 64.18%·429.17% 급증했다.


◇ 집값·거래량 증가하자 각종 수치도 ‘UP’

이 같은 노도강의 상승세는 지표상으로도 명확히 나타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노원구는 지난 4월 넷째 주(24일 기준) 0.04% 오르며 상승 전환했다. 이어 강북구가 지난달 셋째 주(17일 기준) 0.01%, 도봉구가 지난달 넷째 주(24일 기준) 0.03% 오르며 상승 전환했다.

심연 속으로 빠졌던 매수 심리 또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연초 63.2까지 추락했던 동북권(노도강 소속 지역) 매매수급지수는 지난달 다섯째 주(31일 기준) 88.7까지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일각에서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부터 시작된 집값 반등이 노도강에도 영향을 주고 있지만 해당 지역은 대출 의존도가 높아 강남권만큼 극적인 집값 상승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노도강 지역의 향후 전망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노도강의 상승세는 각종 규제 완화로 인해 강남3구에 몰렸던 수요가 노도강까지 확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이어 "지역 특성상 실수요자들이 몰린다고 하더라도 노도강의 급격한 반등은 어려울 것"이라며 "상승세가 얼마나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daniel1115@ekn.kr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