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2023년 1월 주택용 요금 상한, 2021년 4월 대비 253% 인상
독일, 2022년 하반기 주택용 요금 2021년 연평균 요금 대비 82.6% 인상
프랑스, 2022년 8월 주택용 요금 2021년 대비 26.3% 인상
![]() |
한전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전기요금을 40%가량 인상했다. 많다고 볼 수 있지만 해외 국가들에 비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에너지업계에서는 우리나라도 최소한의 요금 현실화와 함께 취약계층보호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90년대부터 전기회사가 민영화돼 도매 가격이 오르면 자연히 소매가격도 오르는 구조다. 한전에 따르면 307㎾h를 사용하는 4인 가구의 기준 월평균 전기요금은 4만 5000원 정도다. 연간으로 해도 54만원이다. 영국의 가정용 전기요금 청구 상한선인 380만원의 15%에 불과하다.
![]() |
독일도 2022년 하반기 주택용 자유요금이 28.72유로센트/kWh로, 2021년 연평균 요금 15.73유로센트/kWh 대비 82.6% 상승했다.
산업용의 경우 2022년 하반기 산업용 자유요금은 52.18유로센트/kWh로, 2021년 연평균요금 12.3유로센트/kWh 대비 324.2% 상승했다.
![]() |
2022년 8월 기준 주택용 규제요금은 16.1 유로센트/kWh이며, 2021년 2월 규제요금 12.75 유로센트/kWh 대비 26.3% 인상됐다.
기업용 규제요금은 2021년 2월 대비 2022년 8월 24.6% 상승했다. 실질 부담은 4.5%로 주택용 요금변동과 유사하다.
2022년 8월 주택용과 비주택용 규제요금 모두 인플레이션 우려로 요금을 동결하였으나, 2023년 2월에 최대 15%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의융합대학 학장은 "한전의 적자와 전력수급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수요 절감 노력과 ‘개문 냉방 단속’ 등 규제도 필요하지만, 전기요금 현실화를 통한 가격 신호가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며 "소비자들은 가격 신호에 반응하기 마련이고 이를 통해 에너지 고효율-저소비 사회로 전환할 수 있다. 지난 5월 전기요금 발표 당시 사흘간 한 대형 마트의 선풍기 매출은 313.5% 증가한 반면 에어컨 매출은 7.4% 증가에 그쳤다"고 말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례 없는 에너지 위기를 겪고 있는 유럽도 2∼3배의 전기요금 인상을 단행했다"며 "물론 에너지 취약계층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들은 가격 신호에 반응할 여력이 없으며, 요금 부담이 클 수 있다. 정부와 한전은 이렇게 취약계층의 부담 완화를 위해 애씀과 동시에, 지원을 못 받는 사각지대가 있는지 잘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