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 |
19일 관련 부처 등에 따르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4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5.25∼5.5%로 한국(3.5%)과의 격차가 2%포인트로 벌어진 상황이다.
최근 발표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이후,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지 않으면 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추가 인상이 없더라도 미국의 금리가 예상보다 더 오래 더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금리 선물시장에서는 연준이 9월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11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이상 인상할 가능성이 35% 수준까지 상승했다.
한미 금리차에 이어 가계대출이 또다시 증가세를 보이점도 금리인상 요인으로 지목된다.
하지만 부동산발 중국 경기 위기가 커지는 가운데 올해 하반기 우리나라 경제 회복이 갈수록 불확실해지는 만큼 한은이 기준금리를 쉽게 올려 경기에 충격을 주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이런 측면들을 고려한 동결 전망이 다소 우세하다.
기준금리는 2021년 11월, 지난해 1·4·5·7·8·10·11월과 올해 1월까지 0.25% 포인트씩 여덟 차례, 0.50% 포인트씩 두 차례 등 모두 3.00% 포인트 높아졌다.
하지만 2021년 8월 이후 약 1년 반 동안 이어진 금리 인상 기조는 사실상 지난 2월 동결로 깨졌고 3.5% 기준금리가 지난달까지 거의 6개월 동안 유지되고 있다.
24일에는 통계청의 2분기 가계동향 조사 결과가 발표된다.
가계동향은 가계의 소득과 지출, 분배 등 지표를 살펴볼 수 있는 통계로, 전체 가구의 실질소득이 얼마나 증가했을지가 주목된다.
지난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50만 4000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4.7% 증가했다.
다만 물가를 고려한 1분기 실질소득은 작년 동기와 같았다.
명목소득 증가율이 5%에 근접했지만, 물가가 그만큼 오르면서 가계의 실질적인 삶은 제자리에 머문 셈이다.
소득 상위 20%의 소득 증가율은 6.0%로, 하위 20%(3.2%)보다 두배 가까이 높았다. 그만큼 소득 분배가 악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