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로 이사 가는 엘앤에프·포스코DX "공매도 굿바이"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8.29 14:42

이전 상장 추진 공식화에 주가 연일 강세

엘앤에프, 전날 공시에 시간 외 5% 상승

포스코DX, 시가총액 일주일 새 2조 늘어

공매도 우려 해소·자금 유입 확대 등 호재

이전상장

▲엘앤에프와 포스코DX 등 코스닥 시총 4, 5위 우량기업들이 코스피 이전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엘앤에프와 포스코DX CI. 각사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코스닥 우량기업들이 유가증권시장(코스피)으로의 진출을 잇따라 추진 중이다. 코스피 시가총액 4, 5위인 엘앤에프와 포스코DX가 이전 상장을 공식화하자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 기업이 코스피 이전 이후에도 강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전날 엘앤에프는 이사회를 통해 유가증권시장 이전상장 추진을 가결했다고 공시했다. 엘앤에프는 "추후 임시주주총회 소집 이사회와 임시주총을 통해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엘앤에프의 이전 상장 추진이 공식 결정되면서 주가도 들썩이고 있다.

지난 28일 장 마감 이후 공시가 발표되면서 엘앤에프는 시간 외 거래에서 4.8% 급등했다. 이날 장 초반에는 3% 넘게 오르기도 했다. 이날 오후 1시 기준 엘앤에프 주가는 전일 대비 0.84% 오른 23만9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기준 엘앤에프 시가총액은 8조6794억원으로 코스닥 시총 4위다. 코스피 시총 39위와 40위인 KT(8조7603억원), HD한국조선해양(8조6122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엘앤에프는 이전 상장 가능성에 지난 25일부터 주가가 급등하기 시작했다. 지난 25일에는 전 거래일 대비 6.78%가 오르더니 지난 28일에도 7,71%가 올랐다. 지난 25일부터 28일까지 기관과 외국인 누적 순매수만 각각 512억원, 259억원에 달했다.

코스닥 시총 5위인 포스코DX도 앞서 코스피 이전 상장 이슈로 주가가 크게 뛰었다.

포스코DX는 지난 23일 이사회 개최 결과 오는 10월5일 임시주총에서 코스피 이전 상장 안건을 상정할 계획이라고 공시했다. 공시 당일 포스코DX 주가는 전일 대비 9.01% 상승해 3만7500원을 기록했으며 지난 25일에는 하루 만에 13.7%가 오르며 4만4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주가 역시(오후 1시 기준) 전일 대비 3.36% 오른 4만9200원에 거래되며 52주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공시 이후 시가총액이 5조7000억원대에서 7조4800억원대로 2조원 가량 늘어났다.

코스피 이전 상장 추진 소식만으로도 주가가 급등하는 것은 시장에서 이를 호재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특히 코스피 이전 상장 시 공매도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점이 주효하다. 공매도는 코스피200, 코스닥150 등에 부분적으로 허용되고 있는데 코스피 이전 상장이 이뤄지면 코스피200에 편입되기 전까지는 공매도 거래가 제한된다. 공매도 우려가 해소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주가가 오르는 것이다.

이에 금투업계에서는 엔앨에프와 포스코DX를 비롯한 코스닥 기업들의 코스피 이전 상장 시 단기적으로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코스피로 이전 상장하면 당분간 공매도 거래가 제한된다는 점에서 개인 투자자들 입장에서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며 "코스피 상장 기업이 되면 수급 개선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기 때문에 단기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들 기업의 향후 실적 전망이 밝은 점 또한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포스코 DX는 지난 2분기 매출이 3692억원, 영업이익 343억원을 기록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5%, 137% 상승했다. 포스코DX가 포스코그룹의 2차전지 사업 확장에 따라 2차전지 양극재 생산 설비 부문에서 두각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포스코DX는 수주 금액이 1160억원에 달하는 포스코퓨처엠의 경북 포항 양극재 2단계 생산공장의 인프라 구축도 맡았다.

엘앤에프는 LS와 지분구조 합작사를 설립해 오는 2025년 양산을 목표로 전구체 밸류체인 수직계열화를 추진 중이다. 내년 예상 매출액은 7조7700억원, 영업이익은 3560억원으로 올해 실적 전망치를 크게 웃돈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엘앤에프는 내년부터 마진 스프레드 정상화와 고객사 다변화, 전구체 수직계열화 등을 통해 실적 개선이 전망된다"며 "엘앤에프의 2년 내 실적 개선 가시성이 확인된다면 주가 상승 여력 크다"고 전망했다.

giryeong@ekn.kr

김기령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