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엔서해에너지가 드론 등 혁신기술을 활용해 도시가스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모습. |
2일 미래엔서해에너지에 따르면 혁신 기술을 활용한 공간정보 시스템 구축은 최근 IT기술에 대한 관심과 활용이 높아짐에 따라 도시가스 공급 안전관리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한다.
VR시스템은 도시가스 공급 설비를 모델링 해 실물과 비슷한 가상공간을 구현했다. 향후 공급 설비의 실시간 데이터까지 연계해 디지털 트윈 기술 접목을 시도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점검원이 직접 현장에 방문하지 않아도 시설물의 구조와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숙련 현장점검원의 업무현장에 대한 교육 훈련과 적응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드론은 영상지도 자체 제작에 활용한다. 자체 제작 영상지도는 공급권역 및 미공급지역 위치 정보 이해를 돕고, 기존 포털사이트 지도 보다 월등히 높은 해상도로 제작해 밸브 및 도시가스 공급 설비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구현했다.
이를 통해 굴착공사 관리 및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 정확한 대응을 할 수 있어 안전관리 측면의 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는 평가다.
미래엔서해에너지 관계자는 "가상현실과 드론의 활용은 공간정보를 활용한 디지털 전환의 시작"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확장 가능한 서비스를 구축함과 동시에 다양한 IT기술을 안전관리에 도입해 업무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엔서해에너지는 충남서북부 5개 시·군(당진, 서산, 홍성, 예산, 태안)을 도시가스 공급권역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youn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