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호주 경제단체, 넷제로 목표로 기술·자원 협력방안 논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9.08 12:48
서호주

▲최정우 한-호주 경제협력위원장이 8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에서 열린 제44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연례 회의에서 로저 쿡 서호주 주총리와 만나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한국과 호주의 경제단체가 탈탄소 사회 전환을 위한 경제 협력 강화에 뜻을 함께 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8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제44차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경협위)를 열어 첨단기술 연구개발(R&D), 핵심 광물, 방위·항공우주, 식품 및 바이오, 청정에너지(수소) 등 5개 분야에 대한 한국과 호주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경협위는 양국 간 비즈니스 협력 활성화를 위한 민간 협력 플랫폼으로, 이날 열린 경협위 합동회의는 전경련과 호주·한국 경제협력위원회(AKBC)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자리에는 양국 경협위원장인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과 존 워커 AKBC 회장, 로저 쿡 서호주 주(州)총리, 캐서린 레이퍼 주한호주대사 등이 참석했다.

존 워커 위원장은 인사말에서 "한국은 호주의 세 번째로 큰 무역 상대이자 세 번째로 큰 수출시장"이라며 "자원과 기술이라는 양국 간 상호보완적인 장점을 기반으로 핵심 광물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양국 관계를 소개했다.

첫 번째 세션이었던 첨단기술 연구개발 분야에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호주 국책 연구기관인 ‘CO2CRC’와의 협력 사례를 소개했다.

박용찬 연구원 박사는 "국내에 아직 대규모 이산화탄소 저장기술을 실증할 수 있는 육상 테스트베드가 없으나 CO2CRC와 협력을 통해 약 9만5000t의 이산화탄소를 성공적으로 주입한 현장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차전지 등 친환경 배터리 산업에 필요한 핵심 광물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보다 신속한 협력관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이경섭 포스코홀딩스 전무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유럽연합의 핵심원자재법(CRMA) 등으로 중국을 제외한 배터리 공급망 구축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이라며 "한국과 호주가 협력해 이차전지 공급망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방산과 식품 분야에 대한 양국 기업 간 협력 모델도 논의됐다.

이세호 롯데상사 상무는 ‘호주 스마트축산업 발전 모델’을 소개하며 "호주의 전통적인 비육 생산성 개선 활동과 한국의 IT 기술을 접목해 지속가능한 축산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소를 중심으로 한 청정에너지 협력 기반을 확장하기 위해선 양국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류재길 고려아연 팀장은 호주 정부의 그린수소 지원정책을 업급, "한국 정부도 제도 및 재정 지원을 제공해 안정적인 수소 공급원과 장기적인 에너지 안보를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간 부문에서 진행하는 그린 수소 생산 및 공급 프로젝트를 양국 공동 국책 사업으로 지정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김아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