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및 서부·남부·남동발전 줄줄이…'골칫덩이' 된 에너지 공기업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9.11 08:25
clip20230623182819

▲한국전력공사 본사.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한국전력공사 등 14개 재무위험 공공기관이 올해 7조원에 육박하는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한전은 기존 부채만 200조원에 육박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11일 연합뉴스는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3∼2027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을 인용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14개 재무위험 공공기관은 올해 6조 7172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재무위험 기관’은 수익성이 악화하거나 재무 구조 전반이 취약해 정부가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을 말한다. 이들 기관 14곳 가운데 9개 기관은 올해도 적자를 보는 셈이다.

가장 큰 폭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된 기관은 단연 한전이었다.

한전은 지난해(-25조 2977억원)에 이어 올해 -6조 4193억원, 내년 -1773억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전 5개 발전자회사 가운데서도 서부발전(-1058억원), 남부발전(-546억원), 남동발전(-406억원)이 올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이은 적자 행렬에 한전 총부채는 지난 6월 말 연결 기준 201조 4000억원을 기록했다. 사상 첫 200조원을 넘긴 것이다.

특히 한전 수익 구조는 작년부터 40% 가까이 전기요금을 올렸는데도 여전히 불안정하다.

한전은 2025년 흑자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환율과 에너지 가격이 5%·10% 오르는 ‘부정적 시나리오’가 펼쳐질 경우 2027년까지 매년 적자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 경우 당장 내년부터 사채 한도를 넘기게 돼 연내 한전법 개정이 필요할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또 한전이 이익에서 어떻게 흑자 전환에 성공하더라도 부채에 따른 이자와 상쇄될 공산이 크다.

한전을 비롯한 대부분 재무위험 기관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이 올해 1 미만일 것으로 예상됐다. 영업해 번 돈으로 이자도 내지 못한다는 뜻이다.

구체적으로는 한전(-2.6배), 남동발전(-0.2배), 남부발전(0.3배), 동서발전(0.1배), 서부발전(-0.2배), 중부발전(0.5배), 한국수력원자력(0.8배), 한국지역난방공사(-1.7배), LH(0.3배), 광해광업공단(-0.6배), 대한석탄공사(-1.3배), 코레일(-0.6배) 등 12곳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었다.

이자 비용은 앞으로도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한전 부채는 올해 말 205조 8000억원을 기록하고 2027년 226조 3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른 이자비용은 지난해 2조 8185억원에서 올해 4조 4000억원, 2024년 4조 7000억원, 2025년 4조 9000억원, 2026년 5조 1000억원, 2027년 5조 1000억원으로 커질 전망이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간 한전이 부담할 이자만 24조원 수준이다.

주된 부채 급증 요인은 지난 정부 시기 급등한 국제 에너지 가격이 전기요금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아 막대한 손실을 봤기 때문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전기를 싸게 쓴 현재 세대가 미래 세대에 비용을 전가한 것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한편, 한전 외 재무위험 기관들 가운데서는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올해 -3929억원, 내년 -5천395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또 한국지역난방공사(-2246억원), 대한석탄공사(-1499억원), 한국석유공사(-982억원), 한국수력원자력(-206억원) 등 에너지 공기업들이 올해 당기순손실을 예고했다.

정부는 자산 매각, 사업 조정, 경영 효율화, 수익 확대, 자본 확충 등을 통해 재무위험 기관의 재정 건전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들 기관의 2022∼2026년 재정 건전화 목표도 작년 발표한 34조 1000억원에서 42조 2000억원으로 8조 1000억원 확대·수정했다.


hg3to8@ekn.kr



안효건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