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년까지 5조원 투자…국내 유일 양극재 밸류체인 구축
![]() |
▲(왼쪽부터) 이강덕 포항시장·김병훈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대표·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
이는 2차전지 원료·전구체·양극재·리사이클링을 아우르는 밸류체인으로 부지 규모는 10만평에 달한다. 2025년 초 완공을 목표로 포항4캠퍼스도 조성하고 있다. 포항4캠퍼스 조성에 필요한 자금은 1조1000억원 수준이다.
에코프로는 ‘클로즈드 루프 에코 시스템’으로 불리는 포항캠퍼스가 △전구체 제조 △리튬 전환 공정 △폐배터리 재활용 유틸리티 시설 등 전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소재 또는 셀 회사가 이같은 생태계를 구축한 사례가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수직계열화를 통한 물류비 절감 등 원가경쟁력을 높이고 스마트 팩토리 구축으로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에코프로씨엔지는 폐배터리 재활용, 전구체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담당한다. 수산화리튬 가공은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양극재는 에코프로비엠·에코프로이엠이 맡는다. 이들 공정에 필요한 고순도 산소와 질소는 에코프로에이피가 공급한다.
에코프로는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단 내 21만평 부지에 2028년까지 2조원 추가 투자도 단행한다. 이는 양극 소재 생태계 확장을 위한 것으로 포항캠퍼스의 시스템을 이식할 계획이다. 블루밸리 캠퍼스의 첫 양산이 시작되는 2025년을 기준으로 직접 고용 창출은 3000명을 넘을 전망이다.
에코프로 관계자는 "포항캠퍼스 및 블루밸리 캠퍼스를 중심으로 헝가리·캐나다 공장을 완공함으로써 2027년까지 양극재 생산력 71만t을 확보하는 등 세계적인 배터리 소재회사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원 포항시 일자리경제국장은 "에코프로의 투자 확대로 포항시가 철강 도시에서 2차전지로 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은 지역경제 부활의 좋은 모델"이라며 "에코프로의 계획된 투자가 잘 집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spero122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