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2500대 선박에 자동조난수신·무선전화 서비스
30년 베테랑 직원들 365일·24시간 뱃길 통신 사수
![]() |
▲KT는 지난 20일 KT화성송신소를 외부에 최초 공개했다. 사진은 송신소에 구축된 단파용LP 안테나의 모습. |
[화성=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논밭이 펼쳐진 경기도 화성의 시골길을 한참 달리다 늘어진 느티나무를 끼고 돌아 들어가니 생선 뼈 모양의 거대한 안테나 철탑이 보이기 시작했다. 이곳은 84년간 뱃사람들의 곁을 지켜 온 KT 선박무선서비스의 한 축인 KT화성송신소(송신소)다. 한적한 시골길 끝자락에 위치한 송신소는 근속 30년에 달하는 베테랑 직원 4명이 지키고 있다.
◇ "선박통신 보편적 역무…수익보단 공익"
바다 한 가운데서 조난을 당했을 때 선박에서는 어떻게 구조신호를 보낼까. 해상에서 조난 등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선박이 보유한 조난 단말장치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자동 송출하고, KT는 조난 신호를 해양 경찰청으로 전달하게 된다.
KT는 지난 1939년 서울중앙전식국 광장수신소 개소 이후 84년간 이러한 선박무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는 서울무선센터로 개편돼 △도봉집중센터 △화성송신소 △천안수신소 △원격국중계소로 이뤄져 있다.
KT는 이중 송신소를 지난 20일 외부에 최초 공개했다. 송신소는 단파와 중단파를 통해 먼바다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과 함께 야간에 전국 원격 해안국을 관제하는 역할을 한다.
기자는 이날 송신소 곳곳을 탐방했다. 5만평 부지의 송신소에는 높이 30M에 달하는 33기의 단파용LP 안테나가 구축돼 있었다. LP안테나는 피쉬본 안테나로도 불리는데 생선 가시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피쉬본 안테나는 복사 효율이 우수하고, 광대역 대출력 성능을 기반으로 단파 원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서울무선센터가 관제하는 주요 통신 서비스는 선박 자동조난수신서비스, 선박무선전화 등이다. 배 위의 스마트폰이 위성전화라면, 육지의 집 전화 같은 유선통신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KT의 선박 무선 서비스라는 설명이다.
선박무선서비스는 2000년부터 보편적 역무로 지정된 사업이다. 보편적 통신 역무는 사회 질서를 유지하거나 시민 안전에 필요한 서비스로 모든 시민에게 언제 어디서나 적정 요금으로 제공돼야 할 기본적인 통신서비스다. KT가 운영하는 공중전화와 시내전화도 이에 속한다.
KT 측은 "통신 기술의 발달로 위성을 통해 산과 바다 어디든 통화를 할 수 있게 됐고, 많은 선박에서 위성전화를 이용하고 있지만 생존 가능성이 가장 높은 비상·긴급통신 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익성은 떨어지지만, 공익성 측면을 고려하면 포기할 수 없는 서비스"라고 강조했다.
◇ 한자리서 30년…"자부심과 사명감으로"
웅장한 철탑과 큰 규모의 내부 시설보다 더 눈에 띈 것은 30년이라는 긴 세월 한 영역에서 묵묵히 업무를 해내고 있는 직원들의 자부심과 사명감이었다.
송신소는 전파를 다루는 곳이다 보니 전파 송수신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소수 정예 인원으로만 운영된다. 따라서 송신소에선 상주인원 4명이 24시간 교대 근무로 밤낮을 지킨다.
송신소는 지난 1998년 12월 15일 서울무선전신국 산하 화성송신소로 처음 문을 열었다. 30년 근속 직원들은 송신소의 처음부터 현재까지 함께한 전문가들인 셈이다.
김기평 KT서울무선센터장은 "지난 1997년 3월 서울무선센터 전신인 서울무선전신국 막내로 입사했다. 무선국에서만 25년간 근무를 지속해 센터장에 올랐다"며 "목포해양대 시절 만난 후배와 결혼해 배우자는 소방관으로 육지의 안전을, 그는 해상의 안전을 지키는 일을 하고 있다는 것에 매일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부서 인원은 총 12명인데 이중 화성에 근무하는 4명은 입사부터 센터에서 대략 30년 정도 근무해 오고 있다. 잘 알려진 영역은 아니지만 긴급상황에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일이라 더 전문성이 필요한 일"이라며 "뱃사람들의 안전을 지키는 마지노선에서 근무하고 있다는 사명감도 느끼고 있다"고 강조했다.
직원들의 이 같은 자부심과 사명감은 김영섭 KT 신임 대표가 강조한 ‘KT맨십’과도 맞닿아 있다. 김 대표는 지난 7일 기자들과 첫 만남에서 KT의 성장 동력으로 KT직원들의 높은 자부심을 꼽기도 했다.
김 센터장에 따르면 지금도 약 2500대의 선박이 KT 선박무선서비스를 통해 육지와 통신하고 있다.
김 센터장은 "우리도 거의 뱃사람과 마찬가지다. 예전만큼 통신 물량이 많지는 않지만 80년 넘게 바다 곁을 지킨 것은 KT이기에 가능한 일"이라며 "올 추석 연휴에도 센터를 비울 수가 없어 교대로 사무실을 지킬 예정"이라고 전했다.
![]() |
▲생선뼈를 닮아 피쉬본 안테나로도 불리는 화성송신소의 단파용LP 안테나(왼쪽)·화성송신소 내 송신기 설비. 사진=윤소진 기자 |
![]() |
▲김기평 KT서울무선센터장(위)과 최충식 KT서울무선센터 차장이 KT화성송신소의 서비스와 시설을 소개하는 모습. |
sojin@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