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수 2차 방류 시작…중국 "불량국가처럼 행동"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10.05 14:05
2023100501000171600008201

▲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일본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의 2차 해양 방류를 시작했다. 도쿄전력은 2차 방류 기간인 이날부터 오는 23일까지 1차 때와 거의 같은 양인 약 7800t(톤)의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할 계획이다. 중국 측은 일본의 1차 방류에 이어 또 다시 반발했다.

연합뉴스가 인용한 5일 후쿠시마추오TV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도쿄전략은 이날 오전 10시 20분께 오염수의 2차 방류를 시작했다. 하루 방류량은 460t가량으로 예상된다.

도쿄전력은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거쳐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내 저장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대량의 바닷물에 희석해 약 1㎞ 길이의 해저터널을 통해 원전 앞바다에 내보낸다.

ALPS로 정화 처리하면 세슘을 비롯한 방사성 물질 62종을 제거할 수 있으나, 삼중수소(트리튬)는 남는다. 미량이기는 하지만 탄소-14 등의 핵종도 없어지지 않는다.

이에 도쿄전력은 ALPS로 거를 수 없는 삼중수소 농도를 일본 규제 기준의 40분의 1인 리터(L)당 1500베크렐(㏃) 미만으로 낮춰 방류한다. 도쿄전력이 전날 준비작업 과정에서 바닷물로 희석한 오염수의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 L당 63∼87㏃로 방류 기준을 밑돌았다.

도쿄전력은 2차 방류분 보관 탱크 내 오염수에서 탄소-14, 세슘-137, 코발트-60, 아이오딘-129 등 4종의 방사성 핵종도 미량 검출됐으나, 모두 고시 농도 한도를 크게 밑도는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방류 기간에 원전으로부터 3㎞ 이내 지점에서 L당 700㏃, 이보다 먼 지점에서 L당 30㏃을 각각 초과하는 삼중수소 수치가 확인되면 방류 작업이 중단된다.

도쿄전력은 전날 외신을 상대로 개최한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1차 방류를 마친 뒤 진행한 점검 작업을 통해 희석설비의 상류 수조 4곳에서 도장(塗裝·도료를 바름)이 10㎝ 정도 부푸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도쿄전력 관계자는 다만 "도장에 균열이 없고, 수조의 방수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2차 방류에는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오염수의 2차 방류가 시작되자 중국 측은 ‘불량국가’(rogue nation)라는 격한 표현을 써가며 일본을 비난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계열 영자신문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일본은 이웃 국가나 자국민을 신경 쓰지 않고 불량국가처럼 행동하면서 핵폐기물을 방류하고 있다"는 관변 싱크탱크 타이허 인스티튜트의 에이나르 탕엔 대표 언급을 게재했다. 불량국가는 미국이 인권 유린이나 테러 지원, 대량살상무기 제조 등과 관련된 국가들을 지칭할 때 써온 표현으로 통상 북한과 이란 등이 대상이 됐다.

탕엔 대표는 "일본 수산업은 심각하게 위축되고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면서 "그러나 일본 정부는 마비돼 장기적으로 경제에 타격을 입힐 행위에 대한 이성적 대안을 모색하기 힘든 상황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향후 30∼40년간 계획된 핵 오염수 방류 기간에 다른 국가들이 뭘 할 수 있나"라는 글로벌타임스 질문에는 "모니터링 외에 할 수 있는 게 없는데, 문제는 일본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떠먹여 주는 모니터링은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도쿄전력의 거짓말 전력을 볼 때 그들이 지금 진실을 이야기할 가능성이 얼마나 되겠나"라고 되물었다.

중국은 일본의 오염수 방류가 과학적 근거에 기초하지 않았고 주변국과 해양에 피해를 주는 행위라며 날선 비판을 이어왔다. 1차 방류가 시작된 지난 8월 24일에는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제재를 단행하기도 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