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발전량 예측 ‘위성 기상데이터’ 누구나 활용 가능해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10.08 12:10

기상청·기상위성센터, 충북 진천서 기상위성센터 현장점검 발표
위성데이터, 위험기상 조기탐지·일사량 관측해 태양광 발전 지원
"세계기상기구와 전 세계 기상관측 통합 모델 구축 협력 계획"

clip20231006153359

▲충북 진천에 위치한 국가기상위성센터 내부 상황실의 모습. 사진= 이원희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기상청 산하 기관인 국가기상위성센터가 위성에서 얻은 실시간 기상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확대한다.

위성 기상데이터는 기상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기업, 연구원, 개인 모두 활용 가능하게 클라우드 형식으로 제공된다.

기상산업 기업, 연구기관, 재생에너지 사업자 등 기상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기관들이 고용량 위성 데이터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과 기상위성센터는 앞으로도 기상 관측, 탐지, 예측 관련 데이터 제공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알렸다. 두 기관은 천리안위성 1호와 2A호에 이어 2031년 발사를 목표로 5호 개발도 추진 중이다.

기상청과 기상위성센터는 지난 5일 충북 진천 기상위성센터에서 ‘기상위성센터 현장점검’을 주제로 기자설명회를 열고 기상위성센터 현황과 앞으로 발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충북 진천에 위치한 기상위성센터에는 거대한 위성 안테나들이 설치돼있다. 기상위성센터는 위성을 개발·운영하고 위성에서 관측한 정보를 수집·제공하며 국제협력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clip20231006153500

▲기상위성센터에 설치된 거대 위성 안테나의 모습. 사진= 이원희 기자

김윤재 센터장은 이날 기상위성센터에 대해 소개하며 위성의 주요 역할에 대해 △태풍 감시 △안개 탐지 △화산 관측 △산불 탐지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을 감시해 기후위기에도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위성 영상 적시 제공률이 현재 99.9%로 세계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며 "이달부터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공공데이터 배포 프로젝트에 참여해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개방형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적시 제공률이란 위성 영상을 스캔작업을 완료하고 3분 이내에 영상을 배포한 비율을 말한다.

지금도 기상위성센터는 위성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지만 워낙 고용량 영상이다 보니 다수의 정보 수요자들이 서버 과부하 등의 문제로 빠르게 데이터를 얻기 힘들다고 알려졌다.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로 위성에서 얻은 데이터를 더 빠르게 얻을 방법을 하나 더 추가하는 것이다.

기상위성센터에 따르면 천리안 2A호 위성을 통한 기상 관측은 1호보다 더 빠르게 재난을 포착해 산불 조기탐지 시간을 10분에서 2분으로 단축했다.

집중호우 탐지 정확도도 높아져 30분 이전에 위험 기상인 집중호우를 탐지하고 있다.

김 센터장은 위성으로 일사량을 관측해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 발전사업을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태양광은 일사량에 따라 발전량이 달라져 일사량을 알면 발전량도 알 수 있다.

일사량 데이터는 태양광 발전사업자들이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위성은 토양 수분을 감시해 극한 가뭄을, 표면 온도 감시로 폭염에 대비할 수 있게 했다.

기상위성센터는 동남아시아 국가 등 17개국 19개 기관에 위성 데이터를 제공 중이다.

기상청과 기상위성센터는 세계기상기구(WMO)와 전 세계 기상을 감시하는 통합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협력할 계획을 알렸다.


wonhee4544@ekn.kr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