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내 펀드시장 설정액·순자산총액 추이. 출처=금융투자협회 |
[에너지경제신문 성우창 기자] 올 3분기 국내 펀드 시장에서 채권형 펀드 및 단기자금 상장지수펀드(ETF)에 자금이 유입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기간 동안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 긴축 정책 장기화 우려가 부각되는 등 고금리 기조 영향으로 풀이된다.
16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3년 3분기 펀드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 3분기 말 기준 전체 펀드 순자산총액(AUM)은 942조2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8조1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채권형 펀드 AUM은 전분기 대비 7조7000억원(+6.2%)이 증가한 132조원을 기록했다. 이중 국내 채권형 펀드는 3분기 동안 6조8000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됐으며, AUM은 전분기 대비 7조7000억원(+6.4%) 증가하며 채권형 펀드의 성장을 견인했다. 또한 파생형 펀드는 3분기 동안 순자산액이 3조7000억원(+6.8%) 증가하며 58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머니마켓펀드(MMF)와 같은 단기금융 펀드에도 자금이 몰렸다. 단기금융펀드 순자산액은 직전분기 평균 대비 2000억원(+0.1%)이 증가한 184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개인형 MMF 순자산 규모는 올해 1분기(13조8000억원)부터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부동산과 특별자산분야에 투자하는 대체투자 펀드도 증가 중이다. 부동산·특별자산의 경우 각각 전분기 대비 3조원, 1조9000억원의 AUM이 증가한 168조4000억원, 145조6000억 원을 기록했다. 반면 주식형 펀드의 AUM은 전분기 대비 1조9000억원(-1.8%)가량 줄어든 103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금투협 측은 "단기금리와 연동된 ETF 위주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관측된다"고 설명했다.
su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