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불러라"...정무위, 증인소환 예고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10.16 16:33

강민국 의원 "금융사 도덕적 해이...KB금융·우리금융 불러달라"



'민관 경험, 제3자 시각' 임 회장에 내부통제 현주소 질의 거론



우리금융만 증인 채택시 타 금융사 면죄부 우려..."다 불러야"

임종룡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이달 말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의 종합감사에서 주요 증인 명단 후보군에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정무위원회 소속 일부 국회의원들이 여야 간사 합의만으로 이뤄지는 증인 채택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고,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을 소환해 내부통제 부실, 황제경영 등을 집중 질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기 때문이다.

특히 임 회장은 금융위원장, NH농협금융지주 및 우리금융지주 회장 등 민관을 두루 경험한 CEO인 만큼 국감 출석시 금융당국이 현재 추진 중인 내부통제 사고예방대책, 금융사들의 내부통제 현 주소 등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들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강민국 의원 "진짜 불러야 할 CEO는 KB금융·우리금융지주 회장"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16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저도 몇 번 증인신청을 했지만, 진짜 불러야 할 것은 KB금융지주 회장과 우리금융지주 회장이다"며 "고금리 장기화로 인해 서민들이 굉장히 힘든 삶을 살고 있음에도 금융지주 회장들은 내부 기준이 모호해 그 돈으로 호위호식하며 황제로 군림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 은행권 대규모 횡령 사고 등을 거론하며 "(해당 사고는) 금융사들의 도덕적 해이가 무너진 것"이라며 "간사님들께서 종합감사때 KB금융지주 회장, 우리금융지주 회장을 꼭 불러 달라"고 강조했다.

국회는 당초 이달 11일 금융위 국감, 17일 금감원 국감에서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을 증인으로 불러 금융사들의 내부통제 부실 문제를 집중 추궁할 방침이었지만 증인 채택이 불발됐다.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이 이달 9일부터 15일까지 모로코 마라케시에서 열리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 참석해 불참이 예고됐기 때문이다. 금감원 국감에서는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준법감시인을 증인으로 불러내는데 그쳤다.

그러나 오는 27일 금융위, 금감원 종합감사에서 5대 금융지주 회장이 추가로 소환될 지 주목된다. 일부 의원들이 금융지주 회장 증인 채택뿐만 아니라 증인 채택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기 때문이다.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증인 신청을 여야 간사 합의에 의해서 하도록 돼 있어 다수 의원이 신청해도 어느 한쪽이 반대하면 증인이 채택될 수 없다. 이럴 거면 국회가 국감을 왜 하는가"라며 "양 간사님들께 부탁드리는데 각 의원들이 신청한 증인들을 기본적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했다.


◇ 금융사 '내부통제 부실 질타' 한 걸음 더...임종룡 회장 소환 거론

국회

▲국회.(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이 중 가장 주목되는 인물은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이다. 앞서 강 의원의 발언처럼 정무위 내부적으로는 이번 종감때라도 금융지주 회장들을 소환해 내부통제 부실로 대규모 횡령 사고가 발생한 것에 대해 집중 추궁하고, 이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켜야 한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특히 우리금융의 경우 지난해 700억원대 대규모 횡령 사고가 발생한 이후 올해 3월 임종룡 회장이 취임하면서 내부통제에 고삐를 조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우리은행이 지난달 핵심성과지표(KPI) 실적이 높은 전국 32개 영업점을 무작위로 추려 지점장에 일괄적으로 특별 명령휴가를 실시하고, 본부 직원이 사고 여부를 점검한 것이 대표적이다. 임 회장이 외부 출신 CEO로, 제3자의 시각으로 조직을 진단하고 쇄신을 주도했기에 가능한 시도였다.

이에 따라 이달 말 종감에서 민관을 경험한 임 회장이 증인으로 채택되면, 현 내부통제 제도의 한계, 금융사 대규모 횡령 사고 원인, 향후 제도 개선 방안 등을 두고 폭넓은 질의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정부가 보다 촘촘하게 금융사 내부통제 방안을 수립하는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반대로 종합감사에서 올해 횡령 사고가 발생한 KB국민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을 또 다시 소환한다면, 금융사 입장에서는 반복되는 질의로 피로감만 커질 수 있다. 내부통제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겠다는 당초 국감 증인 목적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정무위 의원실 관계자는 "우리은행은 올해 금융사고가 크게 발생하지 않았고, 임 회장은 다른 금융지주사 CEO와 경력이 다르다"며 "임 회장을 종감때 부른다면 보다 다방면에서 질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 회장이 증인으로 채택되면 다른 지주사 CEO들도 줄소환이 불가피하다. 정무위 내부에서는 금융사 한 곳만 증인으로 소환한다면, 타 금융사에는 금융사고에 대해 면죄부를 주는 것과 같다는 인식이 있다.

또 다른 의원실 관계자는 "금융사 한 곳만 증인으로 채택하는 것은 내부통제 부실에 대해 한 곳에만 책임을 묻고 다른 금융사는 봐줘도 된다는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며 "내부통제 부실은 특정 금융사가 아닌 금융권 전반의 문제이기 때문에 금융사 CEO를 소환한다면 주요 CEO를 다 소환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ys106@ekn.kr
나유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