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탄은행 ‘2023 전국 연탄사용가구 조사 보고서’…4개 지역 가구수 증가
전국 7만4천여가구…"노령화 지수 높고 1인당소득 낮을수록 사용률 높아"
![]() |
▲연탄제조 공장의 모습. |
고유가, 고물가 속 전기·가스요금 인상 등의 상황에서 노인층과 저소득 가구를 중심으로 에너지 취약계층의 연탄 사용이 증가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 |
▲연탄사용가구 증감추이(2004∼2023) (단위: 가구) 자료= 연탄은행 |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은 2021년 1773가구에서 올해 1827가구로 2년 전보다 4.7% 늘었다.
충북과 대구는 같은 기간 5893가구에서 7618가구, 1414가구에서 1843가구로 각각 29%·31%씩 증가했다. 제주는 112가구에서 311가구로 178% 급증해 2배 가까이 늘었다.
전국적으로 2014년 이후 연탄사용가구가 지속해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과 상반된 수치다.
연탄은행에 따르면 올해 전국의 연탄사용가구 수는 7만4167가구로 총가구 수의 0.3%에 해당한다. 2021년(8만1721가구)과 비교하면 8.5% 줄었다.
연탄은행은 "충북과 대구의 경우 기초생활수급가구·차상위 계층 가구 수 비율이 증가했다"며 4개 지역에서 연탄사용가구가 늘어난 원인으로 유류비 인상, 전기·가스·수도 등 각종 공공요금 인상, 저소득 고령층 증가, 경기침체 등을 꼽았다.
연탄사용가구가 많은 지역은 경북(2만4663가구), 강원(1만6859가구), 충북(7618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3개 지역의 연탄사용가구 수는 전체의 66.2%에 해당한다.
반대로 연탄사용가구가 가장 적은 지역은 울산(62가구), 세종(98가구), 제주(311가구)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연탄사용가구가 많은 지역일수록 노령화 지수가 높고 1인당 소득이 낮게 나타나는 등 경제적으로 열악한 환경"이라고 분석했다.
연탄은행은 2004년부터 격년마다 전국적으로 연탄사용가구 실태를 조사·발표해왔다. 올해 조사는 4월부터 9월까지 31개 지역연탄은행 현장조사 결과, 각 시·도별 연탄가구 현황 집계, 연탄배달업자 자료 등을 취합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연탄은행은 "올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는 ‘연탄쿠폰’은 기초생활수급 및 차상위 가구 총 4만6000여곳에만 지급될 예정인 만큼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사각지대에도 연탄을 지원할 수 있도록 올해도 ‘사랑의 연탄 300만장 나누기’ 캠페인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