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영 뤼튼 대표 "AI 메가 플랫폼으로 거듭날 것"
메가 플랫폼에 다양한 앱 종속될 것으로 전망
![]() |
▲이세영 뤼튼 대표가 1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연말 결산 및 내년 사업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 = 김태현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김태현 기자] 인공지능(AI) 분야도 ‘메가 플랫폼’이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메가 플랫폼은 AI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합 제공하는 서비스다.
뤼튼은 1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미디어데이를 개최하고 내년 사업 계획에 대한 비전을 발표했다.
이세영 뤼튼 대표는 "뤼튼테크놀로지스는 ‘AI 메가 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초기 웹 시장에서의 포털 서비스처럼 AI 시장 역시 메가 플랫폼에 많은 앱들이 종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미디어데이에서는 AI 메가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위한 뤼튼의 핵심 기술과 신규 서비스가 소개됐다. 또 해외 사업 확장 등의 내년 사업 계획을 공개하고 새로운 기업 이미지(CI)와 슬로건 등 리브랜딩 내용을 공개했다.
뤼튼은 AI 에이전트가 모여있는 AI 포털이다. 누구나 AI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와 AI 앱을 만들 수 있는 저작도구 등을 제공한다. 기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플러그인 서비스와 AI 도구를 구축하는 노코드 스튜디오도 제공한다. 뤼튼은 생성 AI 분야의 국내 유력 기업으로 일본을 포함한 다른 비영어권 시장의 확대를 진행하고 있다.
뤼튼은 AI 메가 플랫폼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모델 오브 모델스(MoM)와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내세웠다. 이와 함께 전면 무료화, 대형 언어 모델(LLM) 큐레이션, AI 앱 통합 제공, 뤼튼 스튜디오 2.0 업그레이드 등 신규 서비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MOM은 사용자가 뤼튼 플랫폼에 질문한 의도를 파악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스킬을 찾아 최적의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기술이다. RAG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보 검색 시스템을 추가해 챗GPT와 같은 LLM의 기능을 강화하는 아키텍처다.
뤼튼의 월간활성화사용자수(MAU)는 지난 3월부터 지금까지 매주 10%씩 꾸준히 성장해 현재는 140만을 달성했다. 가입자 달성 속도를 국내 주요 플랫폼과 비교했을 때, 뤼튼은 카카오톡과 비슷한 속도로 100만을 달성했다.
이날 이세영 대표는 "LLM은 뤼튼이 개발할 핵심 기술이 아니다"라며 "단발적으로 사라지거나 경쟁우위에 설 수 없는 기술이 아니라 모델이 발전할 때 함께 가치가 올라가는 기술에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생태계 구성 요소인 앱과 LLM 등이 다양해지며 이것을 모으는 플랫폼 레이어 역시 본격적으로 태동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시장의 최종 승자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대표는 "메가 플랫폼이 등장하며 생성형 AI 시대의 제 3막을 열 것"이라며 "초기 웹 서비스 시장에서는 부동산, 증권 특화 사이트 등이 포털 서비스가 생기고 재편됐다며 생성 AI 시장 역시 메가 플랫폼에 많은 앱들이 종속될 것으로 본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역사적으로 플랫폼사업 성공 방정식은 유저 생태계 조성이다"며 "생태계에서 나오는 구성력이 곧 힘"이라고 설명했다. 메가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선언한 뤼튼은 내년 상반기 국내 MAU 500만명 확보를 시작으로 일본, 중동, 동남아로의 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다.
kth2617@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