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건설사 CEO 신년사서 내실경영 강조
올해 건설·부동산 경기 녹록지 않을 전망
건설업계 "실효성 있는 정부 정책 필요"
▲국내 건설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올해 신년 키워드로 내실경영에 방점을 찍었다. 사진 왼쪽부터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이사, 허윤홍 GS건설 대표, 한성희 포스코이앤씨 사장,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 |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국내 건설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올해 신년 키워드로 내실경영에 방점을 찍었다. 올해 건설·부동산 경기가 지난해보다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최근 태영건설이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을 신청하면서 건설업계에 줄도산 위기감이 높아진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 CEO들은 올해 신년사에서 품질관리와 경영효율화 등을 통한 내실 경영 강화로 사업 기틀을 다져 건설업계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강조했다.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이사 부회장은 신년사에서 "올해는 경영 효율화를 바탕으로 한 내실경영과 함께 포트폴리오 구조 개선을 통한 새로운 미래사업을 육성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자율과 혁신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만들어 체질 개선에 나서야 하고 급변하는 대외여건과 시장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리더 자신의 생각도 바뀔 수 있는 유연한 조직문화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윤홍 GS건설 대표는 전날 서울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현장에서 열린 시무식에서 "엄격한 품질 관리와 수행 역량을 강화해 내실을 다지고,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신뢰 회복에 주력하겠다"면서 "고객과 시장 이해에 기반한 사업 방향으로 재정비하고, 수익성과 수행능력을 감안한 선별 수주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성희 포스코이앤씨 사장은 신년사를 통해 ‘다난흥방’ 정신을 강조했다. 다난흥방은 어려운 일을 많이 겪고 나서 나라를 부흥하게 한다는 말로,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해야 큰일을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그는 "고금리 장기화와 함께 러-우 전쟁에 이은 이-팔 전쟁 발발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됐고 부동산 시장 위축과 건설원가 상승도 계속돼 어려운 경영 여건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올해는 창립 30주년을 맞이해 기존의 성과들을 기반으로 앞으로 다가올 30년을 준비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한 해"라고 강조했다.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도 신년사에서 ‘산을 만나면 길을 내고 물을 마주치면 다리를 세우라(逢山開道 遇水架橋)’는 고사성어를 인용, 전문성을 발휘해 대내외적 위기를 돌파하고 새로운 이정표를 만들어 나가자고 임직원들을 독려했다.
건설업계가 이처럼 신년 키워드로 내실경영에 방점을 찍은 이유는 올해 건설·부동산 경기가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국내 건설수주와 건설투자는 각각 전년 대비 1.5%, 0.3% 감소할 전망이다. 전국 주택가격 역시 2.0%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태영건설이 최근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건설업계 전반적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 대한 경고음이 더 커졌다. 업계에서는 신세계건설, 동부건설, 코오롱글로벌 등 굴지의 건설사들도 유동성 위기를 겪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건설업계는 현재 어느 때 보다 힘든 보릿고개를 겪고 있다. 공사비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지방 미분양 심화 등으로 인해 폐업 건설사들이 속출하고 있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까지 부도난 건설회사는 총 19곳으로 24곳이 부도 났던 2020년 이후 가장 많았다. 지난달에만 8곳의 건설사가 부도 처리됐다
건설업계는 건설 및 주택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정원주 대한주택건설협회장은 신년사에서 "주택산업은 바닥 서민경제와 국가 경제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연관산업과 고용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산업에 비해 탁월한 만큼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상수 대한건설협회장은 신년사에서 "유동성 악화를 겪고 있는 PF사업장의 금융·세제 지원 강화 그리고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신도시 개발 등 주택시장 활성화로 건설투자에 따른 물량 창출이 업계에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zoo10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