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공격에 하마스 2인자 사망…중동전쟁 확대 우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1.03 14:41
LEBANON-BLAST/HAMAS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정치국의 2인자 살레흐 알아루리(사진=로이터/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정치국의 2인자인 살레흐 알아루리가 2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측 공습으로 숨지자 확전 위기가 또다시 고조되고 있다.

연합뉴스가 인용한 3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께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남쪽 외곽에 있는 하마스 사무실이 드론 공격을 받았고, 이로 인해 알아루리를 비롯해 하마수 수뇌부 6명이 사망했다.

하마스 정치국장인 이스마엘 하니예의 부관인 알아루리는 하마스 무장 조직 알카삼 여단을 창설한 초기 멤버 중 1명으로, 서안지구에서 하마스 조직을 이끄는 동시에 레바논 내 친이란 무정정파 헤즈볼라와의 연락책 역할을 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번 전쟁 발발 전부터 그를 제거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레바논 국영 매체들은 이번 공격이 이스라엘 드론에 의한 것이라고 보도했고, AP 통신 역시 이스라엘에 의한 공격이 명백해 보인다고 전했다.

이번 전쟁 기간 친이란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거점인 이스라엘-레바논 국경 지역이 아니라 베이루트 지역에 대한 공격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스라엘이 가자지구가 아닌 타국에서 활동 중인 하마스 수뇌부를 제거한 것 역시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니엘 하가리 이스라엘군 대변인은 관련 질의에 "우리는 하마스와의 싸움에 집중하고 있으며, 어떤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높은 수준의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사건 직후 나지브 미카티 레바논 임시 총리는 "레바논을 새로운 국면으로 끌어들이려는 의도"라고 비난했다. 그는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이번 사건이 이스라엘이 레바논의 주권을 침해한 사건이라는 내용의 공식 항의서를 제출하라고 정부에 지시했다.

하마스 정치국장 하니예는 이번 공격을 "테러 행위, 레바논 주권 침해, 팔레스타인에 대한 적대행위 확대"라고 규정하며 "반드시 보복하고 응징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과 진행 중이던 휴전 협상 중단을 선언했다. 한 하마스 관계자는 알아루리가 지난해 11월 말 성사된 일시 휴전 당시 협상을 주도한 인물이었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헤즈볼라도 "이스라엘의 알아루리 암살은 묵과할 문제가 아니다. 저항 세력은 방아쇠에 손가락을 얹고 있다"며 복수를 다짐했다.

중동 내 반이스라엘 세력을 이끄는 이란은 외무부 성명에서 이번 사건을 레바논의 주권과 영토를 침해한 ‘암살’이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순교자의 피는 팔레스타인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모든 자유를 추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시온주의 점령자들에 맞서 싸우려는 저항의 동기를 다시 불붙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이스라엘은 이날 예정된 전시 내각 회의를 취소했다고 영국 BBC 방송이 보도했다. 이스라엘은 종전까지 가자지구 전후 구상 논의를 꺼려왔으나, 전쟁 국면 전환을 앞두고 마련된 이번 회의를 통해 처음으로 관련 논의를 할 계획이었다.

미국은 오는 5일께 이스라엘을 방문할 예정이던 블링컨 장관의 방문 일정을 다음 주로 연기했다고 관련 소식통이 이스라엘 일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에 말했다. 일정 조정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 같은 소식은 알아루리 사망 사건 직후에 알려졌다.

앞서 미국 정부 당국자는 최근 이스라엘의 일부 병력 철수에 대해 "우리가 촉구한 대로 저강도 작전으로의 전환을 위한 출발점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무렵 미국은 전쟁 직후 동지중해에 급파한 항공모함 제럴드 포드호도 복귀시키기로 하는 등 전쟁 국면 전환에 대비하는 모습이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