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건정연, 건설자재 수급관련 세미나서 공사비 상승 경고
3년간 건설자재 35%, 임금 16% 상승...공사비 상승 겨냥
“건설자재 예측시스템 개발 및 정기조사 도입 등 예측력 강화해야”
2021년 이후 건설시장은 역대 최고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경험 중이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유동성 증가 및 환율 급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복합적 요인으로 원자재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특히 건설기자재 가격은 3년간 35%나 뛰었고, 여기에 임금까지 급상승하면서 건설 공사비 상승을 더 부추기고 있다.
◇ 3년간 자잿값 35%, 임금 16% 상승
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건설자재 수급 여건과 정책 개선방안' 세미나를 열고 건설자재 수급 동향과 전망 및 자재시장 문제과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서 건설연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집계하는 건설공사비지수를 이용해 사상 최악의 건설비용 인플레이션을 설명했다. 즉 건설공사비지수가 2020년 11월부터 120.2에서 지난해 11월까지 153.4로 27.6% 상승했다는 것이다.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직접공사비를 대상으로 재료와 노무, 장비 등 세부 투입자원에 대한 물가변동을 추정하는 지수다. 2015년 연평균 지수를 100으로 설정해 산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재 가격 및 임금상승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건산연 및 건정연에 따르면 지난 3년간(2020년 12월~2023년 12월) 건설자재 지수는 106.4에서 144.2로 35.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생산자물가지수가 22.4% 증가한 것과 비교된다. 참고로 공사 원가 중엔 건설자재 가격이 전제 37.7% 차지해 건설 공사에 투입되는 비용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3년간 주요 건설자재인 철근과 시멘트 이슈가 자재가격 상승을 부추겼다. 지난 2021년 분양가상한제 규제를 피하기 위해 공사물량이 급격히 증가한 상황에서 중국의 철근 수입까지 차질이 생겨서 발생해 '철근난'이 벌어져 가격상승이 발생한 것이다. 철근 가격은 3년간 64.6% 상승했고, 형강(50.4%)과 아연도금강판(54.1%)도 올랐다. 철근가격은 올 1월 기준 99만9000원이지만, 지난 2021년과 2022년 한때 t당 120만원에서 140만원까지 오르는 등 급등세를 유지해 왔다.
시멘트도 문제다. 지난 2022년 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인해 시멘트 소성 공정에 필요한 유연탄 공급 차질이 발생했고, 지난해는 봄철 시멘트 수요 및 재고물량이 확보되지 못해 불규칙한 수급이 이어져 왔다. 시멘트 가격은 3년간 누적 54.6% 가격이 상승했으며, 이는 레미콘, 콘크리트파일 등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임금상승도 한 몫 하고 있다. 임금은 반기마다 1.7%~3.95%까지 매번 상승 중이다. 대한건설협회가 반기마다 발표하는 '건설업 임금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2021년 1월 1일 기준 평균임금은 23만1779원인데 3년 후인 2024년 1월 1일 기준 27만789원으로 16.83% 올랐다. 건설업 전체직종 중 일반 공사직종은 2021년 상반기 21만9213원, 2022년 상반기 23만1044원, 2023년 상반기 24만456원, 2024년 상반기 25만8359원까지 상승했다.
◇ 공사비 증가 따른 건설시장 수요 악화 우려
자재가격 및 임금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가로 건설업 선행지표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 지난 2023년 11월 기준 건설수주는 23.1%, 허가는 26.2%, 착공은 35%, 분양은 46.6% 감소해 유례없는 건설경기 악화 중이다. 공사비 상승은 특히 주택시장 수요약화 및 공급 위축 심화를 불러올 수 있다. 건정연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예상치)은 약 28만 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5% 줄었고, 공동주택 분양실적 역시 약 17만9000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8%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업계, 학계가 협업해서 자재수급 안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정부는 자재 정기조사 및 협의회 구성을, 업계는 건설업-자재업계간의 상생을, 학계 및 연구계는 공급 모니터링을 통한 통계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올해 건설경기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서는 자재 수급 안정화가 기본 전제가 돼야 한다"며 “자재 공급량 동향 파악을 위한 통계 체계를 구성할 필요가 있고, 이를 통해 자재 시장 예측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선구 건정연 연구위원도 “건설자재 수급 불균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건설자재 예측시스템 개발 및 건설자재 수급협의체 운영, 건설자재시장 정기조사 도입 등을 정부가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